코로나-19 환자 한약치료 치험 1례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reports a case of COVID-19 in which the patient experienced improved clinical symptoms (fever, cough, anosmia, sore throat, pantalgia, and headache) after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Methods:
A 47-year-old male patient diagnosed with COVID-19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Mahwangbalpyotang-gagam) three times a day. His clinical course was assessed us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the Numerical Rating Scale of clinical symptoms, and chest X-ray comparisons between pre-COVID-19 and post-COVID-19 conditions.
Results:
All the patient’s clinical symptoms subsided in 11 days. After 15 days of treatment, his body temperature dropped to a normal range, and the quarantine was lifted. A chest X-ray showed there was no active lung lesion in either lung field after COVID-19.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herbal medicine treatment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relieving COVID-19’s clinical symptoms.
Keywords: COVID-19, herbal medicine, Mahwangbalpyo-tang, case report
I. 서 론
2022년 10월 24일 현재까지 국내 누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진자수는 2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전국민의 1/3은 확진된 경험이 있다고 봐도 될 정도이다. 델타에서 오미크론 변이를 거쳐가며 중증화되는 비율은 줄고있다고 하나 고령의 경우에는 여전히 치명률이 높으며 80대 이상에서는 치명률 2.67%를 기록하고 있다 1.
코로나-19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50%), 열(43%), 두통(34%), 호흡곤란(29%), 인후통(20%), 설사(19%), 오심구토(12%), 후각소실, 미각소실 등이 있다. 델타변이 당시에는 일반적인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증에 가까운 초기증상을 보이며 발열, 콧물, 코막힘, 인후통 등이 주로 보이며 후각, 미각소실 등의 빈도는 낮은 편이다. 오미크론 변이에서는 인후통과 같은 상기도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기타 증상으로 피로, 식욕감소, 객담, 혼돈, 어지러움, 콧물이나 코막힘, 객혈, 흉통, 결막염, 피부증상, 정신학적 증상 등 다양하였다 2.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후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를 Post COVID-19 condition(Long COVID)으로 정의 3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피로감, 호흡곤란, 우울, 불안, 인지저하 등 증상이 보고되었으며 Lee H 4등의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환자 19.1%(4,139명)에서 1개 이상 후유증을 경험하였다고 연구한 바 있다.
코로나-19 진단받은 환자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제(베클루리주, 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 등)가 개발이 되었으나 중증 또는 폐렴환자, 만 60세 이상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증/중증 환자 등 투여기준에 부합하여야 하며, 기준에 부합한다고 하더라도 코로나-19 전담병원에 입원하지 않는 한 치료제 처방을 받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으며 병용금지 의약품이 28개 성분에 해당되어 해당되는 경우 투약이 제한되기도 하였다 5. 최근에는 확진되더라도 자택에서 격리하도록 지침이 바뀌었으며 한시적으로 원격진료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경구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는 환자보다는 진해거담제, 해열진통제, 항히스타민제 등 일반 상기도감염증에 처방하는 약물을 투약하는 등 대증치료가 일반적이다.
코로나-19에 대하여 중국에서는 중의약 약물을 예방적 차원 및 치료적 차원에서 이미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6 중의가이드라인에서는 한방변증을 통해 잠복기, 경증 및 중증, 회복기 등으로 나눠 초기임상증상으로 호흡기증상을, 증상이 진행되며 나타나는 소화기장애를 같이 치료하는 약물 구성을 제시하였다 7. 국내에서도 한의코로나진료지침을 발행하여 방역수칙 외에도 한약치료를 권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처방으로 밀접 접촉 후 무증상 환자에게는 荊芥連翹湯 合 不換金正氣散, 노인 및 허약자에게는 荊芥連翹湯 합 補中益氣湯, 경증 환자에게는 한방변증에 따라 蓮翹敗毒散, 葛根解肌湯, 小柴胡湯, 淸肺排毒湯, 회복기 환자에게는 蔘朮健脾湯 合 生脈散 또는 淸暑益氣湯이 권고되고 있다 7.
한의사협회에서는 2021년 12월 22일부터 4월 15일까지 한의진료센터를 진행했으며 한의진료를 받은 842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시 94.4%는 재택치료 시 받은 한약치료에 만족한다고 답한 바 있다 8. 한의 의료기관에서 비대면 진료가 어려움에 따라 코로나-19에 대한 한방치료 증례보고 또한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증례는 본원에서 입원치료 중 코로나-19 확진판정 받고 코로나 전담병원 및 생활치료센터 배정을 받지 못하여 타 기관에 입원하지 못하고 본원에서 격리한 환자 1명의 코로나-19 관련 임상 증상에 대하여 麻黃發表湯加減을 사용한 뒤 증상변화를 관찰한 증례이며, 마황발표탕은 ≪東醫壽世保元・新定方≫에 나오는 太陰人 背顀表病證 처방으로 두통, 발열, 전신통, 기침이 있으며 땀이 나지 않는 증상을 호소할 때 쓸 수 있는 처방이다 9. 상기 환자 한약치료 11일 경과 후 호소증상 모두 소실하였으며 15일 만에 격리 해제 및 퇴원한 케이스로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II. 증 례
1. 개 요
1) 성별/나이 : M / 47
2) 치료기간 : 2021년 11월 22일~2021년 12월 06일까지(15일간)
3) 주소증
(1) Fever
(2) Cough
(3) Anosmia
(4) Sore throat
(5) Pantalgia
(6) Headache
4) 발병일 : 2021년 11월 22일
5) 과거력
(1) Cerebral infarction : 2000년경 진단받아 약물 복용하던 중 2021년 08월 30일 재발하여 진단 후 약물 복용 중
(2) Fatty liver : 2000년경 진단 후 약물 복용 중
(3) Lt. ankle Fx. : 2000년경 진단 후 수술치료
(4) Appendicitis : 2000년경 진단 후 수술치료
(5) HTN : 2000년경 진단 후 약물 복용 중
6) 현병력 : 상기 환자 뇌경색증(2021.08s) 후유증으로 인한 편마비로 한방치료 및 재활치료 위해 본원 입원치료 받으시던 환자분으로 입원중 확진자 접촉 후 발열증상 발생(2021년 11월 22일), PCR 검사 진행하여 2021년 11월 23일 positive 진단받게 되었다. 이후 생활치료센터 및 코로나전담병동에 병상이 확보되지 않아 본원에서 격리하여 체온 측정 및 증상 모니터링하였으며 한약 치료받게 되었다.
7) Self medication : 복용 중인 약물은 다음 표와 같다( Table 1).
Table 1
Medication |
Dosage |
Amlodipine 5 mg |
1T#1 |
Olmesartan medoxomil 20 mg |
1T#1 |
Clopidogrel 75 mg |
1T#1 |
Atorvastatin 40 mg |
1T#1 |
Ezetimibe 10 mg |
1T#1 |
Gabapentin 300 mg |
3C#3 |
Choline alfoscerate 400 mg |
3C#3 |
Rebamipide 100 mg |
3T#3 |
Folic acid 1 mg |
1T#1 |
Etizolam 0.25 mg |
1T#2 |
Clonazepam 0.5 mg |
1T#1 (HS) |
Amitriptyline hydrochloride 5 mg |
1T#1 (HS) |
Ropinirole 0.25 mg |
1T#1 (HS) |
8) 한방초진소견
(1) 寒/熱 -/+, 喜冷飮, 口渴 +
(2) 舌 : 淡紅舌 薄白苔
(3) 脈 : 浮緊
(4) 汗 出 : 自汗
(5) 大 便 : 1-2回/1日, 硬便
(6) 小 便 : 5-6회/1일, 夜尿(-)
(7) 消 化 : 良好
(8) 睡 眠 : 熟眠, 6시간
(9) 性質才幹 : 외향적이며 가끔 욱하나 대체로 격식을 차리며 차분하다.
(10) 體形氣像 : 肥人(BMI 30.1 kg/m2)으로 체격이 크고 걸을 때 무게감이 있다. 肌肉이 풍부하며 복각이 크고 허리가 발달하였다.
(11) 容貌詞氣 : 얼굴색은 흰편이나 붉은기가 있다. 전체적으로 외형은 둥글며 말하는 목소리에 힘이 있고 소리가 크다.
9) IRB : 본 증례보고는 공용기관생명윤리위훤회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승인번호는 P01-202208- 01-030이다.
2. 치 료
1) 방 법 : 한약치료는 마황발표탕가감방 하루 두첩 3팩(100 mL)으로 하루 세 번 오전 7시, 오후 12시, 5시에 식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 Table 2).
Table 2
The Prescription of Herbal Medicine
Herbs |
Scientific name |
Dose (g) |
桔 梗 |
Platycodonis Radix
|
6 |
生 薑 |
Zingiberis Rhizoma Recens
|
4 |
黃 芩 |
Scutellariae Radix
|
4 |
杏 仁 |
Armeniacae Semen
|
4 |
半 夏 |
Pinelliae Tuber
|
4 |
麻 黃 |
Ephedra Herba
|
1.5 |
2) 평 가
(1) 임상 증상 : 기침, 후각소실, 인후통, 두통, 전신통과 같은 자각적 호소 증상에 대하여 NRS (Numeric Rating Scale, 숫자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기록하였으며 제일 심한 정도를 10, 소실되었을 때를 0으로 표기하였다.
(2) 발 열 : 하루 세 번 오전 8시, 오후 2시, 오후 8시 액와 및 고막 체온을 측정하도록 하였으며 섭씨 온도로 기록하였다.
(3) Chest X-ray : 코로나-19 감염되기 전 입원초기에 진행한 영상검사결과 및 격리 해제 후 재내원하여 진행한 Chest X-ray 결과를 비교하였다.
3) 경 과
(1) 11월 22일 임상 증상 발생 : 오전 11시 발열 및 두통 인후통 발생하였으며 오후 8시 두통은 소실되었다.
(2) 11월 23일(확진 1일차) : 발열 인후통 지속중이며 전신을 두드려 맞은 듯한 통증 발생, 식은땀이 지속되며 기침도 간헐적으로 나오는 상태 호소하였다.
(3) 11월 24일(확진 2일차) : 전신통 인후통이 심해지고 기침 지속되는 상태였다. 흉부불편감 간헐적으로 호소하였으나 5분 이내 소실되었다.
(4) 11월 25일(확진 3일차) : 후각 이상 호소하였으며 전일대비 인후통은 심해졌으나 전신근육통은 완화되었다고 호소하였다.
(5) 11월 26일(확진 4일차) : 인후통도 전일대비 완화되었으며 두통은 없는 상태 지속, 후각이상 지속, 기상 후에는 열감이 있다고 호소하였다.
(6) 11월 28일(확진 6일차) : 전신 근육통 소실되었으며 인후통 후각이상 지속되었다.
(7) 11월 30일(확진 8일차) : 인후통 전신통 후각이상 두통 모두 소실되었으며 환자 자각적 열감도 미약하다고 호소하였다.
(8) 12월 2일(확진 11일차) : 열감을 비롯한 모든 증상 소실되어 보건소에서 격리 해제 모니터링 들어가기로 하였다.
(9) 12월 6일(확진 15일차) : 증상 소실 유지되어 보건소에서 격리 해제 받으시고 본원 퇴원하였다.
4) 결 과
(1) 임상 증상 : 발병일 당시 고열(38.3도), 인후통, 몸살(Pantalgia), 기침 두통 호소하였으며 확진 1일차 두통 소실, 확진 2일차부터 온몸이 두드려 맞은 듯한 전신통 호소, 확진 3일차부터 기침증상 호소하였다. 확진 6일차 전신통 소실되었으며 확진 8일차 열감을 제외한 모든 증상 소실, 확진 11일차 열감을 포함한 모든 증상 소실되었다( Fig. 1).
Fig. 1
Progress in patient’s symptoms (fever, cough, anosmia, sore throat, pantalgia, headache).
(2) 발 열 : 하루 중 최고온도를 그래프상 표시하였으며 입원 초기 액와 37.7도, 고막 38.2도까지 올라갔으나 확진 11일차 액와 고막 모두 36도대 유지하였으며 환자 호소하는 열감 오한 식은땀 모두 소실되었다( Fig. 2).
Fig. 2
Change in body temperature.
(3) Chest X-ray : 코로나 발병 이전( Fig. 3A) 및 격리해제 약 1달 후( Fig. 3B) 영상검사결과이며 두 차례 모두 no active lung lesion 소견 받았다.
Fig. 3
Comparison of chest x-ray.
III. 고 찰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 환자가 발생한 이후 2022년 4월 당시 일일 발생자 약 10만 명을 기록하였으며 이후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22년 7월 다시 만 명 이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확진된 환자들은 초기 분류에 따라 재택치료, 시설치료, 입원치료 받게 되며 의료적 판단에 따라 전환하여 치료가 가능하다. 2022년 2월 9일부터는 예방접종력 및 증상 유무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7일간 격리하고 있으나 위중증 환자의 경우에는 기간기준 및 증상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격리 해제가 되며 검체 채취일로부터 최소 10일 경과하거나 최대 20일까지 적용, 또는 최소 48시간 동안 발열이 없고 임상증상이 호전되는 추세여야 격리 해제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10.
코로나-19는 한의학의 범주 내에서는 疫病 11 또는 溫病 중 濕溫의 범주로 보며 濕, 熱, 毒, 瘀가 결합된 질환으로 각 증상에 맞는 변증에 따라 한약 치료를 한다 7. 본 증례에서 사용된 麻黃發表湯의 경우 ≪東醫壽世保元・新定方≫ 12에 나오는 처방으로 원방 구성은 桔梗 3錢, 麻黃 1錢 5分, 麥門冬 黃芩 杏仁 各 1錢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太陰人 背顀表病證 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이제마는 장중경의 상한론 중 太陽病 傷寒에 두통이 있고 열이 나며 전신이 쑤시고 요통이 있고 뼈마디가 쑤시고 아프며 오한이 있으나 땀이 나지 않고 기침을 하면 麻黃湯을 쓴다고 기술한 부분이 태음인 背顀表病에 해당하며 마황탕에서 桂枝와 甘草를 제거한 마황발표탕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9.
기존 국내 연구 중에는 오한, 발열, 해수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태음인 환자에게 마황발표탕을 투여하여 호전된 증례 1례 13가 있으며, 마황발표탕의 기원인 마황탕의 경우 인플루엔자에 사용한 기존 임상연구가 4건 있으며 마황탕을 사용한 실험군이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 대조군보다 발열이 가라앉을 때까지의 평균 시간이 짧았다는 연구들이 있다 14. 국내 실험연구 중 마황탕의 군약인 마황추출물에 대하여 코로나바이러스 과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 15, α-glucosidase에 대한 활성 저해능을 통한 항바이러스 작용 16에 대하여 연구된 바 있다.
본 치험례의 한계점은 격리 중인 환자를 전화상으로만 문진이 가능하였으며 격리기간 동안 혈액검사 또는 영상검사를 진행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흉부 단순방사선검사의 경우에도 본원 퇴원 후 재내원하였을 때 진행하였으며 약 1달정도 시간 간격이 있어 격리 해제 직후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상기 케이스의 경우 태음인으로 추정한 환자의 호흡기 증상 및 제반증상에 대하여 마황발표탕 원방에서 환자 개인의 마황에 대한 감수성 때문에 원방의 용량(1錢 5分, 약 5.625 g)에서 1.5 g으로 감량하였으며, 祛痰 및 소화기증상 치료를 위해 生薑 半夏를 가미, 麥門冬을 거하여 조절하여 처방하였다. 코로나-19의 진행 경과 및 증상의 정도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발병부터 회복까지 평균적으로 경증환자는 대략 2주 정도의 이환기간이 관찰되며, 위중증 환자의 경우 평균 3-6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7. 이와 비교하였을 때 본 증례에서는 뇌졸중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임에도 11일 경과 후 임상증상이 호전된 사례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이환된 환자가 호소하는 임상 증상에 대하여 麻黃發表湯加減을 사용한 뒤 증상변화를 관찰한 증례이며 단일증례로 유효성에 대한 평가를 당장 하기는 어려우나 코로나-19 증상에 한약치료를 통한 개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포함하여 더 많은 증례보고가 이루어진다면 전염병에 대한 한약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하여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IV. 결 론
본 치험례의 경우 코로나19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처방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증상개선 및 소실을 목표로 한약 처방을 하였으며 확진 진단 후 11일차에 증상 소실, 15일에 격리 해제 된 케이스이며 이후 본원 내원 시에도 코로나19로 인한 후유증은 없었다. 코로나19 한약치료로 인한 증상 개선 효과는 보이나 단일증례로 한의치료 자체의 효과를 평가하기에는 그 수가 부족하며 평가도구가 부족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참고문헌
3. World Health Organization. A Clinical Case Definition of Post COVID-19 Condition by a Delphi Consensus 2022:10 6; 1–11.
4. Lee H, Sung HK, Lee D, Choi Y, Lee JY, Lee JY, et al. Comparison of Complications after Coronavirus Disease and Seasonal Influenza, South Korea. Emerg Infect Dis 2022:02;28(2):347–53.
6.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VID-19 and Role of Chinese Medicine 2020:12–3. 44-9.
7. Association of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Respirology &Allergy &Clinical immunology) in College of Korean Medicine. COVID-19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20:2:1:1–15.
9. Hwang MW. 四象醫學講說 Seoul: Koonja Publication: 2012. p. 335–6.
10.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COVID-19 for health personnel. COVID-19 Management Guideline(for local government) 202212:22Available from:URL: https://ncv.kdca.go.kr/hcp/page.do?mid=0302.
11.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COVID-19 Korean Medicine Treatment Recommendation 2020:1:02:1–40.
12. Association of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 in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1997. p. 485.
13. Park EK, Park SS. A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prescribed Mahwangbalpyotang fot the Taeumin's Baechuptobyung symptom accompanying chill and fever. J of Sasang Constitut Med 2000:12(1):260–4.
14. Shin YS, Jeong JK, Lee SI. An analysis of Clinical Studies on Mahwang-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19:27(1):87–100.
15. Kwon DH, Kim MB, Yoon DY, Lee YH, Kim JW, Lee HG, et al. Screening of Plant Resources of Anti-viral Activ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3:11(1):24–30.
16. Lee DS, Lee DS. Antivir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Ephedra sinica Stapf. Korean J Food Preserv 2014:21(5):735–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