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jikm/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한의기반 통합암치료를 통한 재발성 담낭암 환자의 증상 호전 증례보고

한의기반 통합암치료를 통한 재발성 담낭암 환자의 증상 호전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Symptom Improvement with Recurrent Gallbladder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based Integrative Cancer Treatment

Article information

J Int Korean Med. 2022;43(3):477-48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June 30
doi : https://doi.org/10.22246/jikm.2022.43.3.477
고은주1,*, 도성국2,*, 박지혜3, 송시연1, 이연월4, 유화승3
1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1 East West Cancer Center, Daejeon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2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2 Dept. of Gastroenterology, School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3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 동서암센터
3 East west Cancer Center, Seoul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4 대전대학교 천안한방병원 동서암센터
4 East west Cancer Center, Cheonan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교신저자: 유화승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1길 32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 동서암센터 TEL: 02-2222-8106 FAX: 02-2222-8111 E-mail: althys@dju.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Received 2022 May 31; Revised 2022 July 4; Accepted 2022 July 5.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improvement effect of symptoms of integrative cancer treatment (ICT) on recurrent gallbladder cancer patients.

Methods:

A 73-year-old patient with recurrent gallbladder cancer visited the Daejeon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East West Cancer Center (EWCC) on February 2022. After the diagnosis of gallbladder cancer, the patient underwent cholecystectomy and relapsed during follow-up. After the operation, the cancer recurred during follow-up, and after radiation treatment, she had been receiving ICT since February 2022. The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by X-ray, computed tomography (CT),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tumor markers (CEA, CA19-9), and numeric rating scales (NRS).

Results:

After treatment, abdominal pain was relieved from NRS 5 to 2, and abdominal circumference decreased from 74.5 to 67. During and after treatment, we found neither hepatotoxicity nor nephrotoxicity in the laboratory findings.

Conclusion: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ICT may improve symptoms in patients with gallbladder cancer.

Ⅰ. 서 론

담낭암은 증상 발현이 늦고 예후가 좋지 않은 매우 공격적인 질병이다1,2. 담낭암은 흔하지 않은 암으로 5년 생존율이 10%에서 60% 사이이다3,4. 우리나라에서 서구보다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우리나라의 암 사망 원인 6위를 차지하고 있다5,6.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는 여전히 담낭암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의 유일한 방법이다. 진단 당시 환자 대부분은 진행성 질환을 갖고 있으며 10~30%의 환자에서만 수술적 절제가 가능하다2. 또한 근치적 외과적 절제 후에도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흔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7,8. 최근 연구에서 담낭암 외과적 절제술 이후 중앙값 24개월의 추적 조사 결과 66%의 환자에서 종양이 재발하였다9. 따라서 담낭암의 불량한 예후에는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와 같은 보조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이러한 치료 후 몇몇 장기 생존자가 관찰되기 시작했지만, 담낭암은 치명적인 악성 종양으로 전이 및 재발성 담낭암에서 5년 생존율이 2%대로 추정된다10. 따라서 전이 및 재발의 위험성을 낮추고 삶의 질 개선을 위해 한의학적 치료를 통한 새로운 치료법 및 통합암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의 통합암치료는 암세포만 집중하여 치료 목표로 삼는 기존의 치료와는 달리 대사 활성 치료, 한의 약물치료, 항암 식이치료를 등을 통하여 암 환자의 면역 활성을 극대화하는 치료로, 여러 암종에 대해 암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관련 증상의 완화, 종양을 휴면상태로 유지하는 데 대해 유의성을 가진다는 연속 증례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11,12.

본 증례의 환자는 2017년 08월에 담낭암 진단을 받고 2017년 08월 확대 담낭절제술을 받은 후 추적관찰 중 2018년 10월 재발 소견을 듣고 2018년 10월 우간삼구역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2018년 12월부터 2019년 08월까지 재발 방지 목적으로 항암화학요법(tegafur-uracil)을 6회 받았다. 경과 관찰 중 2021년 03월 재발 소견으로 2021년 04월부터 2021년 05월까지 방사선치료 30회를 받고 추적관찰을 하던 중 생긴 복수 증상, 복부 통증 및 항종양 치료를 위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에게 통합암치료를 통해 증상 호전과 항종양 효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Ⅱ. 증 례

본 증례의 연구를 위해 환자동의서 및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면제(DJDSKH-22-E-15-1)를 획득하였다.

1. 환 자 : 만 73세 여성

2. 한의 통합암치료 치료 기간 : 2022년 2월 12일 ~2022년 4월 23일(약 2개월)

3. 최초 진단

1) 최초 진단 : 2017년 8월

2) 조직검사 및 병기 : Gallbladder cancer, Adenocarcinoma, 초진 Stage ⅡB, 현 Stage Ⅳ

4. 과거력, 가족력 및 사회력

1) 과거력 : 별무

2) 가족력 : 별무

5. 현병력

상기 환자는 2017년 8월 복통 증상으로 내원한 ⃝⃝병원에서 시행한 복강경 담낭제거술 시 채 취한 조직검사 결과 담낭암 진단을 받고 2017년 8월 확대 담낭절제술을 받은 후 1년 후 정기검 진인 2018년 10월 복부 컴퓨터 단층 영상 검사 (Computed Tomography, CT)상 간 구역 쪽으 로 재발 소견을 듣고 2018년 10월 우간삼구역절 제술 후 2018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6회의 항암치료(tegafur-uracil)를 하였다. 이후 경과 관찰을 하다가 2021년 3월 복부 CT 검사와 양 전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검사상 재발 진단을 받고 2021년 4월부터 2021 년 5월까지 재발 부위로 30회의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이후 경과 관찰 중에 생긴 복부 불편감 과 전반적인 복부 통증으로 2022년 2월 3일 시 행한 복부 CT 검사상 재발된 부위는 유지된 상 태에서 추가로 복수 확인되어서(Fig. 1) 복수 증 상 개선, 복부 통증 완화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통합암치료를 위하여 2022년 2월 12일 대전대학 교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에 입원하여 치료를 시작하였다.

Fig. 1

Comparison of abdomen computed tomography.

A : Aggravated ascites (2022/02/03)

B : Recurrence at the surgical site is not prominent, Revenge is still observed, but has been greatly reduced (2022/04/14)

6. 주소증 : Abdominal pain, Fatigue, Diarrhea

7. 계통적 진찰 식사량(밥 1/3공기, 3끼/일), 소화 양호, 대변(1회/일, 설사 경향), 소변(5~6회/일, 야간뇨 1회/일), 수면(6~7시간/일, 천면 경향, 중도 각성 3~4회), 舌紅薄苔, 脈 微細, 精氣 虛弱

8. 초진 소견 본 증례의 환자는 주소증으로 복부 통증을 호소하였고 복부 CT 검사상 복수 확인되었다. 이로 인한 복부 통증은 NRS 5 정도였고 복부 둘레는 74.5 cm 측정되었다.

9. 치료내용

1) 한의 기반 통합암치료 : 환자는 2022년 2월 12일부터 2022년 4월 23일까지 입원 기간 동안 종양 재발 방지 및 면역력 강화를 위해 프리미엄 항암단(삼칠근 237.5 mg, 동충하초 237.5 mg, 우황 25 mg)을 1일 3회 경구 복용하였다(Table 1). 또한 2022년 2월 12일부터 대사 활성 요법인 침 치료와 뜸, 수족욕, 반신욕을 시행하였다. 침 치료는 1일 1회 내관(PC06), 합곡(LI04), 태충(IR03), 족삼리(ST36) 등에 15분간 유침(동방메디컬, 0.20 mm×0.30 mm. 1회용 스테인리스 호침 사용)하였다. 뜸 치료는 1일 2회로 1회는 중완(CV12), 관원(CV04), 신궐(CV08) 부위에, 1회는 수심 및 족심 부위에 황토뜸(동방, 쑥숯, 옥, 황토, 게르마늄, 세라믹)을 간접구 방식으로 각 30분간 시행하였다. 수족욕은 1일 1회 30분간 당귀, 천궁, 홍화 약재를 달여서 사용하여 42 ℃ 온도로 습식으로 시행하였고, 반신욕은 1일 1회 30분간 애엽, 상백피, 박하, 마황, 관동화, 계지, 창이자, 세신, 정향 약재를 사용하여 55 ℃ 온도로 건식으로 시행하였다. 또한 복수 감소를 위해 인진오령산(택사 2 g, 백출 1.5 g, 복령 1.5 g, 저령 1.5 g, 인진호 1.33 g, 계지 1 g)을 1일 3회 경구 복용하였고, 설사 증상 완화를 위해 항암대사방(공사인 20 g)을 본원 원내탕전실에서 하루 2첩 3팩을 100 cc의 용량으로 조제하여 1일 3회 경구 복용하였다(Table 1).

Prescription of Herbal Medication

2) 양방 치료

(1) 라식스정 (pc0.5-0-0) : Furosemide 40 mg, 이뇨제

(2) 스피로닥톤정 (pc0.5-0-0) : Spironolactone 25 mg, 이뇨제

(3) 신풍트라마돌염산염주 (prn) : Tramadol hydrochloride 50 mg/mL, 해열, 진통, 소염제

10. 평가도구

1) 혈액검사 : 치료의 안정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입원 시와 치료 후 신장 검사 및 간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white blood cell (WBC)과 c-reactive protein (CRP) 수치 등 염증반응과 관련된 항목의 변화와 Na, K, Cl 등 전해질 관련 항목을 관찰하였다. 또한 종양표지자인 carcinoembryonic antigen (CEA)과 carcinoma antigen19-9 (CA19-9)를 측정하여 입원 치료 시작 전과 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2) Numeric Rating Scale (NRS) : 환자의 주관적 고통 정도를 0~10까지의 숫자로 계량화 하여 객관적 지표로 나타내는 수치 평가척도이다. 본 증례에서는 주 증상인 복부 통증에 대한 평가에 사용되어 매일 측정하였다.

3) Centimeter(cm) : 복수의 변화를 보기 위해 복부 둘레의 측정에 사용되었고 배꼽 주위 둘레를 매일 아침 식전에 측정하였다.

11. 치료 결과

1) 임상병리검사 결과 : 본원 치료 기간 중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등의 간 기능 수치와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수치가 처음 입원 시와 퇴원 시 크게 달라지지 않아 치료 중 간독성 및 신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치료 기간 동안 WBC, CRP 등 염증과 관련된 수치의 상승이 없었다. 종양표지자 중 CEA는 처음 입원 후 시행한 2022년 2월 21일 결과 4.67 ng/ml, 최종 퇴원 시 시행한 2022년 4월 22일 결과 4.90 ng/ml로 정상범위 내에서 크게 변화가 없었다. CA19-9는 2022년 2월 21일 처음 입원 시 508.6 U/ml이었고 2022년 3월 12일 퇴원 시 445.7 U/ml로 감소하였는데 2022년 4월 16일 671.2 U/ml로 상승하였다가 퇴원 전 시행한 결과 2022년 4월 22일 630.8 U/ml로 경미한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Table 2).

Laboratory Findings

2) 영상 검사 결과 : 2022년 2월 3일 복부 CT 검사와 비교해서 2022년 4월 14일 복부 CT 검사 결과 수술 부위에 추가 재발이 없고 복수는 아직 관찰되지만, 2월과 비교해서 양이 많이 줄었다는 판독 소견이 나왔다(Fig. 1). 2022년 2월 12일 복부 단순 촬영과 2022년 4월 8일 시행한 복부 단순 촬영을 비교했을 때 2022년 4월 8일 시행한 복부 단순 촬영에서 복부의 팽창과 음영의 감소가 관찰되었다(Fig. 2).

Fig. 2

Comparison of abdomen erect X-ray.

A : No significant abnormal gas pattern, no definite noted ileus sign, ascites collection (2022/02/12)

B : No significant abnormal gas pattern, no definite noted ileus sign, ascites collection, mild (2022/04 /08)

3) 복수의 변화 : 2022년 2월 3일 시행한 복부 CT와 비교하여 2022년 4월 14일 시행한 복부 CT 검사상 복수의 양이 많이 줄었다는 판독 결과가 나왔고 2022년 2월 12일 시행한 복부 단순 촬영 검사와 비교해서 2022년 4월 8일 시행한 복부 단순 촬영 검사 결과에서 복부 팽창과 음영 감소로 복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원 시부터 퇴원 시까지 복부 둘레 변화를 비교해보면 2022년 2월 12일 74.5 cm, 2월 26일 68.5 cm, 3월 12일 68.7 cm, 4월 6일 69 cm, 4월 20일 67 cm으로 중간에 미세하게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지만, 최종적으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3).

Fig. 3

Changes in abdominal circumference.

Abdominal circumference decreased from 74.5 cm to 67 cm.

4) 독성 및 부작용 : 치료 기간 중의 AST, ALT 등의 간 기능 수치는 입원 시부터 정상범위보다 높았지만 입원 시와 퇴원 시 검사 결과를 비교했을 때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며, BUN, creatinine 수치는 정상범위 안에서 유지되었다. 치료 기간 중의 WBC, CRP 등 염증 관련 수치의 상승은 보이지 않았으며, 전해질 불균형도 나타나지 않았다.

5) 주소증의 변화 : 환자의 주요 주소증은 2022년 2월부터 복수로 인해 시작된 복부 통증이었다. 처음 입원 시 복부 통증으로 2월 15일부터 2월 27일까지 이틀 간격으로 하루에 한 번 트라마돌주 1앰플 IV로 처치가 들어갔는데 2월 27일 이후에는 처치가 들어가지 않고도 통증이 심해지지 않았다. 한방 치료를 받으면서 2022년 2월 12일 NRS 5에서 2022년 2월 19일 NRS 4, 2022년 2월 26일 NRS 3으로 유지되다가 2022년 4월 13일 NRS 2로 감소해서 점진적인 호전을 보였다(Fig. 4).

Fig. 4

Changes of numeric rating scale on clinical symptom.

Numeric rating scale of abdominal pain decreased from NRS 5 to NRS 2.

Ⅲ. 고찰 및 결론

담낭암은 대부분 환자가 진행된 단계에서 진단되는 희귀암으로 공격적인 성격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은 2/100,000 미만이다13. 또한 전 세계적으로 모든 암 사망의 1.7%를 차지하며 증상 발현이 늦어서 발견이 늦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다14. 외과적 절제 수술은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환자 대부분은 완전한 절제에도 불구하고 재발을 경험한다15,16. 따라서 NCCN 가이드라인에서는 수술로 완전한 제거를 하였어도 재발 전이 방지를 위해 보조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권장한다17. 시스플라틴과 같은 화학요법은 담낭암 환자의 주요 치료법이지만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내성은 좋지 않은 예후로 이어진다18,19. 또한 수술 후 보조 치료를 하더라도 전제 생존 기간은 12개월 미만이다20. 따라서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전략 및 한의 통합 암 치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담낭암 환자로 처음 진단 시는 담낭암 stage Ⅱ 상태였고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였지만 추후 재발하였고 Stage Ⅳ 진단을 받았다. 그 후 항암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현재는 추적관찰 중이다. 종양으로 생긴 복수와 복통 관리와 재발 방지를 위해 본원에서 한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한의 약물치료는 항암 및 면역 증진 약물인 프리미엄 항암단과 복수 관리를 위해 인진오령산을 복용하였고 전반적인 컨디션 개선과 설사 증상 완화를 위해 항암대사방을 복용하였다. 프리미엄 항암단은 삼칠근, 동충하초, 우황으로 구성된 약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항혈관신생효과가 있으며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 입증되었다21,22. 인진오령산은 국내에서는 황달, 복수 및 부종의 개선에 대한 증례가 보고되었다23. 항암대사방의 성분인 사인은 일반적으로 항염 작용을 통해 위장 질환을 개선하고 복부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설사를 멈추게 하며 소화관 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통증을 멈추게 한다24.

본 증례 환자의 경우 재발을 반복하면서 생긴 악성 복수로 인해 복부 불편감, 복부 통증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2022년 2월 12일 본원 입원 시부터 인진오령산을 투약하였고 한양방 병용치료를 위해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이뇨제는 본원 가정의학과에 의뢰하여 처방하였고 2022년 2월 12일부터 라식스정, 스피로닥톤정을 0.5 t씩 함께 복용하였다. 그 결과 치료 기간 복부 둘레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전후 영상 검사를 비교했을 때도 복수가 현저히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액검사상 이뇨제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전해질 불균형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양약과 한약의 동반 사용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한의 치료와 양의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어떤 치료가 더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비교가 어려워 다음에 어떤 치료가 우선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

환자의 주소증인 복통은 입원 시에는 NRS 5 정도로 호소하였으며 2022년 2월 15일부터 2022년 2월 27일까지 견딜 수 없는 통증으로 본원 가정의학과에 의뢰하여 처방한 진통주사인 신풍트라마돌염산염주 1앰플을 이틀에 한 번 정도 IV로 처치 받았는데 그 이후에는 한 번도 들어가지 않았다. 치료를 받으면서 복통은 NRS 5에서 2로 개선되었으며 전반적인 몸 상태도 호전되었다. 한의 약물치료, 침, 뜸, 수족욕, 반신욕 등의 대사 활성 요법을 포함한 통합암치료가 증상 감소와 환자의 전체적인 상태 호전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종양표지자의 경우에 CEA는 입원 시부터 퇴원 시까지 정상범위 내에서 비슷하게 유지되었고 CA19-9는 2022년 2월 처음 입원 때 500이 넘었는데 한의 치료 한 달 후 2022년 3월 400대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한 달 후 2022년 4월 시행한 혈액검사에서는 600대까지 올랐다가 마지막 퇴원 때 시행한 검사에서는 약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원 입원 기간 동안 항암이나 방사선치료 없이 한의 치료만으로 종양표지자가 감소함을 봤을 때 한의 치료가 종양표지자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중간에 다시 상승함을 보아 확실한 효과가 있다고 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 CA 19-9의 경우 간 질환, 담도 질환, 췌장 질환 등 상승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추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양표지자의 특성상 기간을 길게 두고 관찰해야 하는데 2개월 동안 시행한 검사 결과라서 효과를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입⋅퇴원 시 시행한 혈액검사를 봤을 때 통합암치료로 인한 간독성 및 신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담낭암은 희귀암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예후가 좋지 않다. 또한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였어도 재발, 전이의 확률이 높은 암이다. 본 증례는 두 번의 재발로 추적관찰을 하던 중 한의 치료로 현재까지 재발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상기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이 모두 개선되었고 영상의학적으로도 호전을 보였다. 다만 본 증례는 환자 한 명의 치료 경과보고이며, 종양표지자의 지속적인 감소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상기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이 모두 개선되었지만 꾸준하게 유지가 될 수 있는지 확인이 되지 않았다. 또한 재발 억제 효과를 보기에는 기간이 다소 짧았다는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본 증례를 통해 한의기반 통합암치료가 재발성 담낭암 환자의 항종양효과와 증상 개선, 삶의 질 증진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인 연속 증례보고와 대규모 연구 및 장기간의 관찰이 요구되는 바이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과제고유번호 : HI19C1046).

References

1. Zhu AX, Hong TS, Hezel AF, Kooby DA. Current management of gallbladder carcinoma. Oncologist 2010;15(2):168–81.
2. Misra S, Chaturvedi A, Misra NC, Sharma ID. Carcinoma of the gallbladder. Lancet Oncol 2003;4(3):167–76.
3. Bergquist JR, Shah HN, Habermann EB, Hernandez MC, Ivanics T, Kendrick ML, et al. Adjuvant systemic therapy after resection of node positive gallbladder cancer:time for a well-designed trial. Int J Surg 2018;52:171–9.
4. Margonis GA, Gani F, Buettner S, Amini N, Sasaki K, Andreatos N, Ethun CG, et al. Rates and patterns of recurrence after curative intent resection for gallbladder cancer:a multi-institution analysis from the US Extra-hepatic Biliary Malignancy Consortium. HPB (Oxford) 2016;18(11):872–8.
5. Wi Y, Woo H, Won YJ, Jang JY, Shin A. Trends in gallbladder cancer incidence and survival in Korea. Cancer Res Treat 2018;50(4):1444–51.
6. Jung KW, Won YJ, Hong S, Kong HJ, Lee ES. Prediction of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Korea,. 2020;Cancer Res Treat 2020;52(2):351–8.
7. Kim TG. Patterns of initial failure after resection for gallbladder cancer implications for adjuvant radiotherapy. Radiat Oncol J 2017;35(4):359–67.
8. Margonis GA, Gani F, Buettner S, Amini N, Sasaki K, Andreatos N, et al. Rates and patterns of recurrence after curative intent resection for gallbladder cancer:a multi-institution analysis from the US Extra-hepatic Biliary Malignancy Consortium. HPB (Oxford) 2016;18(11):872–8.
9. Rakić M, Patrlj L, Kopljar M, Kliček R, Kolovrat M, Loncar B, et al. Gallbladder cancer. Hepatobiliary Surg Nutr 2014;3(5):221–6.
10. Han D, Yang J, Xu F, Huang Q, Bai L, Wei YL, et al.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gallbladder adenocarcinoma identified using competing-risks analysis:A study of cases in the SEER database. Medicine 2020;99(31):e21322.
11. Park BK, Yoo HS, Lee YW, Han SS, Cho JH, Son CG, et al. Retrospective cohort analysis for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Wheel Balance Therapy (WBT). Korean J Orient Int Med 2009;19(2):45–56.
12. Ma Z, Fan Y, Wu Y, Kebebe D, Zhang B, Lu P, et 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combination therapies utilizing nanotechnology-based targeted delivery systems:a new strategy for antitumor trea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2019;14:2029–53.
13. Stinton LM, Shaffer EA. Epidemiology of gallbladder disease:Cholelithiasis and cancer. Gut Liver 2012;6(2):172–87.
14. Bray F, Ferlay J, Soerjomataram I, Siegel RL, Torre LA, Jemal A. Global cancer statistics 2018: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Cancer J Clin 2018;68(6):394–424.
15. Shih SP, Schulick RD, Cameron JL, Lillemoe KD, Pitt HA, Choti MA, et al. Gallbladder cancer:The role of laparoscopy and radical resection. Ann Surg 2007;245(6):893–901.
16. Zhu AX, Hong TS, Hezel AF, Kooby DA. Current management of gallbladder carcinoma. Oncologist 2010;15(2):168–81.
17. Benson AB, D'Angelica MI, Abbott DE, Anaya DA, Anders R, Are C, et al. Hepatobiliary cancers, version 2. J Natl Compr Canc Netw 2014;12(8):1152–82.
18. Stein A, Arnold D, Bridgewater J, Goldstein D, Jensen LH, Klümpen HJ, et al. Adjuvant chemotherapy with gemcitabine and cisplatin compared to observation after curative intent resection of cholangiocarcinoma and muscle invasive gallbladder carcinoma (ACTICCA-1 trial) - a randomized, multidisciplinary, multinational phase III trial. BMC cancer 2015;15:564.
19. Wang W, Sun Y, Li X, Li H, Chen Y, Tian Y, et al. Emodin potentiates the anticancer effect of cisplatin on gallbladder cancer cells through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inhibition of survivin expression. Oncology reports 2011;26(5):1143–8.
20. Rho YS, Barrera I, Metrakos P, Kavan P. Complete resolution of metastatic gallbladder cancer after standard Gemcitabine-Cisplatin combination therapy. Cureus 2015;7(12):e415.
21. Kang HJ, Park JH, Yoo HS, Park YM, Cho CK, Kang IC. Effects of HAD-B1 on the proliferation of A549 cisplatin-resistant lung cancer cells, Molecular Medicine Reports. Mol Med Rep 2018;17(5):6745–51.
22. Kang HJ, Park SJ, Park YM, Yoo HS, Kang IC. Inhibitory effects of HangAmDan-B1 (HAD-B1) on A549 lung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tumor growth in a xenograft model.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2016;4(7):187–93.
23. Park SW, Kim DJ, Kwak MA, Byun JS, Lee JY. The case report about the effect of Injinolyungsangami on the jaundice, Ascites and Edema in Liver Cancer Patient. The journal of Jehan Oriental Medical Academ 2014;2(1):17–26.
24. Chen Z, Ni W, Yang C, Zhang T, Lu S, Zhao R, et al. Therapeutic effect of Amomum villosum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rats. Frontiers in pharmacology 2018;9:63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Comparison of abdomen computed tomography.

A : Aggravated ascites (2022/02/03)

B : Recurrence at the surgical site is not prominent, Revenge is still observed, but has been greatly reduced (2022/04/14)

Table 1

Prescription of Herbal Medication

Prescription name Herb Latin botanical name Dose (g)
HangAmDan-B 三 七 Radix Panax notoginseng 2.375
冬蟲夏草 Cordyceps militaris 2.375
牛 黃 Calculus bovis 0.25

Injinoryeong-san 澤 瀉 Alismatis Rhizoma 2
白 朮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1.5
茯 苓 Poria cocos Wolf 1.5
猪 苓 Polyporus umbellatus Fries 1.5
茵蔯蒿 Artemisia capillaris Thunb. 1.33
桂 枝 Cinnamomum cassia 1

Hangamdaesa-bang 貢砂仁 Wurfbainia villosa 20

Table 2

Laboratory Findings

2022/02/12 2022/03/12 2022/04/16 2022/04/22 Normal range
AST (U/l) 25 17 25 24 0-40
ALT (U/l) 19 14 27 21 0-40
BUN (mg/dl) 7.1↓ 7.0↓ 12.1 10.7 8-23
Creatinine (mg/dl) 0.63 0.57 0.55 0.65 0.5-1.2
CRP (mg/dl) 0.06 0.09 0.10 0.04 -0.5
CEA (ng/ml) 4.67 4.10 5.32 4.90 0-5
CA19-9 (U/ml) 508.6↑ 445.7↑ 671.2↑ 630.8↑ 0-27

AST :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 alanine aminotransferase, CRP : c-reactive protein, CEA : carcinoembryonic antigen, CA19-9 : carcinoma antigen 19-9

Fig. 2

Comparison of abdomen erect X-ray.

A : No significant abnormal gas pattern, no definite noted ileus sign, ascites collection (2022/02/12)

B : No significant abnormal gas pattern, no definite noted ileus sign, ascites collection, mild (2022/04 /08)

Fig. 3

Changes in abdominal circumference.

Abdominal circumference decreased from 74.5 cm to 67 cm.

Fig. 4

Changes of numeric rating scale on clinical symptom.

Numeric rating scale of abdominal pain decreased from NRS 5 to NR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