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jikm/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3.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상세불명의 마비성 장폐쇄 환자의 한의 치료 증례보고 1례

상세불명의 마비성 장폐쇄 환자의 한의 치료 증례보고 1례

A Clinical Case of an Unspecified Paralytic Ileus Patient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rticle information

J Int Korean Med. 2022;43(1):104-11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March 30
doi : https://doi.org/10.22246/jikm.2022.43.1.104
김보성1, 안선주1, 박윤령2, 노준용2, 남우진1
1 삼세한방병원 한방내과
1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Korean Medicine, Samse Hospital of Korean Medicine
2 삼세한방병원 침구의학과
2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Samse Hospital of Korean Medicine
·교신저자: 남우진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580 삼세한방병원 한방 5과 TEL: 051-580-6907 FAX: 051-513-4321 E-mail: jadongca2@naver.com
Received 2022 February 25; Revised 2022 March 28; Accepted 2022 March 28.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a clinical case of a paralytic ileus patient diagnosed with Soeumin.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Hyangsayangwi-tang, Baekhaogunja-tang, Palmulgunja-tang), infusion solution treatments, acupuncture, moxibustion, and rehabilitative therapy. Their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Results:

After receiving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38 days, the VAS score for dyspepsia was reduced from 8 to 2, the VAS score for nausea and vomiting was reduced from 8 to 2, and the VAS score for abdominal pain was reduced from 7 to less than 1.

Conclusions:

Korean medicine could be effective in relieving the symptoms of paralytic Ileus.

Ⅰ. 서 론

급성 장폐쇄는 막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발생하거나 막힘이 없어도 기능적으로 장운동장애에 의해 발생한다. 장폐쇄를 유발할 수 있는 내인성 질환은 장중첩증, 방사선 손상 등이 병인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 선천성, 염증성, 신생물, 외상성 요인 등에 기인한다. 기능적 폐쇄는 마비성 장폐쇄 또는 가성폐쇄로도 알려져 있는데, 기계적인 폐쇄가 없지만 장운동부전으로 인해 장관 내부 내용물의 원위부 이동에 장애가 생길 때 발생한다1.

장폐쇄 환자의 임상 증상은 급경련성 복통, 복부팽만, 구토, 변비가 있다. 마비성 폐쇄의 주 증상은 복부팽만이고, 급경련복통은 없으나 양이 적은 구토와 딸꾹질이 동반될 수 있다. 장폐쇄의 경우 복부 단순 촬영이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상에서는 공기 음영이 위와 대장에만 있으나, 소장 공기 음영이 보이면 장폐쇄를 고려한다. 소장폐쇄에서는 주로 복부 중앙에서 valvulae connicentes 혹은 staircasing pattern with air-fluid level이 관찰되며, 대장폐쇄에서는 주로 복부 변연부에서 대장의 주행을 따라 air-fluid level이 관찰되는 경향이 있다2. 치료원칙은 혈류량의 감소와 전해질 이상을 수액과 전해질 공급으로 교정하고, 소장폐쇄일 경우 비위관 감압을 통하여 소화관 팽창을 감소시킨다. 필요한 경우 적절한 시기에 외과적 치료를 고려한다3.

한의 치료를 통한 다수의 마비성 장폐쇄 치료 증례 보고는 있으나 少陰人 腎受熱表熱病으로 진단한 뒤 환자의 증상 중 畏寒을 고려하여 백하오군자탕을 사용한 증례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少陰人으로 진단된 마비성 장폐쇄 환자에서 ≪東醫壽世保元≫ 조문에 근거한 치료로 임상 증상과 영상의학적 개선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증 례

본 증례는 2021년 08월 27일 별무원인으로 식욕부진, 복통, 오심 및 구토, 변비가 발생하여 2021년 08월 30일 내과의원에서 수액 치료와 양약 복용 후에도 상기 증상 심화되어 본원에 2021년 8월 31일부터 2021년 10월 07일까지 입원, 외래치료를 받은 70대 여성 환자 1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증례보고로서 IRB심의(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P01-202112-21-023)를 거쳤다.

1. 환 자 : SS-01, F, 73세

2. 발병일 : 2021년 08월 27일

3. 주소증

소량의 식사 유동식 섭취, 소량의 음수에도 즉각적인 오심과 구토가 발생하며, 상복부팽만감 지속 발생하여 경구 식이 섭취가 제한되고 대변을 보지 못함.

4. 진단명 : Paralytic Ileus

5. 과거력 : 고혈압, 당뇨, 갑상선기능저하증

6. 가족력 : 모 - 고혈압

7. 사회력 : 음주(-), 흡연(-)

8. 현병력

상기 환자 2021년 8월 27일 별무원인으로 발생한 소화불량, 오심 및 구토, 복통으로 2021년 08월 30일 로컬 내과 내원하여 기타 영상의학적 검사 없이 대증치료로 수액 치료와 양약 복용하였으나 추후 증상 심화되어 기력저하로 단독보행 어려워 휠체어를 타고 보호자 동행 하에 내원하여 2021년 8월 31일 본원 입원하였다.

9. 초진소견

1) 소화불량 : 食後則吐 발생하여 5일간 식사를 거의 못 하고 미음도 삼키기 힘듦. 복부팽만감 지속되며, 경구식이섭취가 안되어 기력저하로 인해 보행이 불가함. 증상 발생 후 테이블스푼으로 소량 음수 중으로 현재 700 mL/일 음수 중. VAS 8.

2) 오심 및 구토 : 食後則吐, 水入則吐하며 지속적인 오심 발생함. 경구식이섭취가 안 되고 있음. VAS 8.

3) 복 통 : 급경련성 복통은 보이지 않으나 상복부 통증과 더불어 구미혈, 중완혈 압통이 심하며, 천추혈과 기해혈 압통은 덜하다. 미약한 속쓰림 동반되나 위완부 작열감은 없음. VAS 7.

10. 검사 소견

1) Abdomen X-ray 상 Non-specific calcification on pelvic cavity. Localized ileus on LUQ with fecal materials within large bowels(Fig. 1).

Fig. 1

21.08.31 x-ray abdomen erect, supine.

2) Laboratory findings

(1) Hematology : Total Bilirubin 1.6 mg/dL ↑ (정상범위 0.3-1.2 mg/dL), Creatinine 0.4 mg/dL ↑(정상범위 0.7-1.2 mg/dL)

(2) Urinalysis : Urine Microscopy WBC 3-5/HPF ↑(정상범위 1-3/HPF)

11. 사상체질진단

1) 외형(체형기상, 용모사기) : 키 151 cm, 몸무게 49 kg, Body Mass Index 21.49의 정상 범위이다. 膀胱之坐勢 盛壯, 胸襟之包勢 孤弱한 흉부와 복부까지는 정상적인 체형이나, 골반은 상대적으로 크며, 상지에 비해 하지가 발달하였다. 이목구비와 얼굴의 크기는 작고, 눈매는 온순하고 목소리는 조용하다.

2) 素證과 顯證

(1) 睡 眠 : 평소 4-5시간 정도 수면하나 入眠難 있음. 5일간 속이 불편해서 2시간/일 천면.

(2) 食慾, 消化 : 평소 3회/일 일반식 1/3 공기 식사. 평소 소화가 안되고 밥을 못 먹으면 몸이 많이 힘들고, 체하면 머리가 아프다. 현재 食後則吐. 5일간 거의 식사를 하지 못했다.

(3) 大 便 : 평소 1회/1-2일 배변하나 무른변, 배변양호. 증상 발생 후 3일비.

(4) 小 便 : 13회/일. 야뇨 2-3회. 소변량은 80-100 mL/회. 방광염이 자주 있으며 잔뇨감도 종종 있다. 소화불량 발생 후 5-6회/일, 50-60 mL/회가량 배뇨하며 잔뇨감과 배뇨통도 동반된다.

(5) 口渴, 飮水 : 口渴, 口乾은 없으며, 能冷飮하나 상온으로 음수. 하루 음수량 700-900 mL 정도이다.

(6) 汗 出 : 최근 소화불량과 함께 진땀이 자주 나며 여름에 땀을 흠뻑 젖을 정도로 흘렸다.

(7) 寒 熱 : 더위, 추위 모두 타고, 덥거나 추우면 기운이 빠진다. 여름에도 전기장판을 틀고 잔다.

(8) 浮 腫 : 평소 얼굴과 양측 족부가 잘 부으며, 일과 중 수시로 잘 붓는다.

(9) 面 診 : 面色黃白

(10) 腹 診 : 鳩尾, 中脘, 天樞, 氣海穴 壓痛, 臍上部 腹直筋 緊張.

(11) 舌 診 : 舌質淡紅, 苔薄白

(12) 脈 診 : 脈弱

3) 진 단 : 외형과 소증 및 현증에 근거하여 少陰人 腎受熱表熱病으로 진단하였다.

12. 치 료

1) 한 약

(1)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Table 1)을 2첩 달여 100 cc씩 3포로 나누어 1일 3회 아침, 점심, 저녁 식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2021년 08월 31일~2021년 09월 07일 점심). 보호자의 도움 하에 빨대를 사용하여 구역감이 들지 않도록 천천히 복용하게 지시하였으며, 2021년 09월 03일 구토 완전 소실 후 환자 스스로 한약을 복용하였다.

The Composition of Hyangsayangwi-tang

(2) 백하오군자탕(白何烏君子湯, Table 2)을 2첩 달여 100 cc씩 3포로 나누어 1일 3회 아침, 점심, 저녁 식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2021년 09월 07일 저녁~2021년 9월 13일 점심).

The Composition of Baekhaogunja-tang

(3) 백하오군자탕가미방(白何烏君子湯加味方, Table 3)을 2첩 달여 100 cc씩 3포로 나누어 1일 3회 아침, 점심, 저녁 식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2021년 09월 13일 저녁~2021년 9월 27일 점심).

The Composition of Baekhaogunja-tang-gami

(4) 팔물군자탕(八物君子湯, Table 4)을 2첩 달여 100 cc씩 3포로 나누어 1일 3회 아침, 점심, 저녁 식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2021년 09월 27일 저녁~2021년 10월 07일).

The Composition of Palmulgunja-tang

2) 침치료 : 동방침구제작소에서 제작한 0.20 mm ×30 mm stainless steel 호침으로 입원기간(2021년 08월 31일~2021년 09월 11일) 동안 1-2회/일 총 12일간 자침하였다. 이후 외래 내원(2021년 09월 13일, 15일, 16일, 17일, 23일, 24일, 25일, 27일, 28일, 29일, 30일, 10월 01일, 02일, 03일, 04일, 05일, 06일, 07일) 시 1회/일 자침하였다. 치료혈은 CV4(關元), CV12(中脘), CV13(上脘), ST25(天樞), 양측 LI4(合谷), LR3 (太衝), ST36(足三里)에 1~2 cm 깊이로 자침하여 15분간 유침하였다.

3) 뜸치료 : 입원 시에는 매일, 퇴원 후에는 외래 내원 시 하복부 왕뜸치료를 30분간 시행하였다.

4) 수액치료 : 음식물 섭취 저하로 인한 탈수와 영양불량을 막고, 오심과 구토 증상 완화를 위하여 본원 가정의학과 협진 하에 경정맥 영양공급과 항구토제 수액 치료를 시행하였다(Table 5).

The Composition of Infusion Solution

13. 치료경과

1) 2021년 08월 31일 : 2021년 08월 27일부터 시작된 소화불량 증상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오심과 경구식이섭취 시 구토하여 2021년 08월 30일 로컬 내과 내원 후 대증치료 하였으나 별다른 호전 없이 증상 심화되었다. 5일간 식사를 못 하고 빨대를 사용하여 소량 음수만 하여 전신위약 발생하여 자가보행이 안되어 휠체어로 본원 내원하였다. 본원 영상검사 상 Localized ileus on LUQ with fecal materials within large bowels(Fig. 1)로 확인되어 마비성 장폐쇄 진단 후 소증과 현증, 환자의 소화력을 고려하여 함량을 조절한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Table 1)을 처방하고 탈수와 영양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원 가정의학과 협진 하에 수액치료(Table 5)를 병행하였다.

2) 2021년 09월 01일 : 식욕저하가 있으나 금일부터 유동식으로 4-5 테이블스푼 경구 섭취 가능하였고, 한약을 포함하여 700 mL가량 빨대를 사용하여 음수하였으나 구역감이 동반되고 오심과 상복부팽만감은 여전히 지속되었다. 마지막 배변은 2021년 08월 29일 소량의 보통변 배변 후 배변하지 못하였다. 소변은 8회/일, 전신위약으로 인하여 단독보행 불가하여 기저귀에 소량 배뇨하였다. 잔뇨감과 배뇨통은 미약하게 지속되었다. 수액치료(Table 5)는 지속 병행하였다.

3) 2021년 09월 03일 : 구역과 구토는 발생하지 않고, 오심과 소화불량이 미약 호전(VAS 7)되어 오전 유동식으로 4-5 테이블스푼, 점심 유동식으로 5 테이블스푼, 저녁은 일반식 1/3 공기 섭취하였고, 500 mL가량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음수하였다. 食後則吐 발생하지 않았으며, 상복부의 불편감과 통증도 미약 호전(VAS 5)되었다. 그러나 야간 복부 불편감으로 지속적인 천면 유지되었고, 마지막 배변 후 5일간 배변하지 못하였다. 전신위약 미약 호전되어 보호자 동행 하에 휠체어로 부축 받아 화장실로 이동하여 배뇨 가능하였으나 자가보행은 불가하였다.

4) 2021년 09월 06일 : 소화불량과 오심이 호전(VAS 6)되어 일반식 1/2 공기로 식사량이 증가하였다. 소량의 과일도 간식으로 섭취 가능하고 음수도 600 mL로 증가하였다. 6일간 배변하지 못하였으나 2021년 09월 05일 1회/일 보통변으로 배변하였다. 배뇨 횟수가 10회/일로 증가하였고 소변량 90 mL가량으로 증가하고 잔뇨감도 줄었다. 경구식이섭취 가능하여 수액치료는 보류하였다. 그러나 아직 자가보행은 불가하였다.

5) 2021년 09월 07일 : 소화불량과 오심 호전(VAS 5)으로 일반식 1/2 공기 유지하고 있으며, 당일 수액치료 병행하지 않아도 전신위약이 미약 호전되어 다리에 힘이 들어온다고 표현하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부축 하에 100 m 가량 자가보행으로 서행하였다. 배변도 1회/일 가능하며 무른변으로 배변하며, 잔뇨감도 호전되었으나 배뇨 시 소량 무른변으로 3회 배변하였다고 한다. 상복부 통증도 감소(VAS 3)하여 야간 수면 5시간으로 증가하였다. 얼굴과 족부의 부종도 많이 줄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여름에도 지속해서 전기장판을 틀고 잘 만큼 몸에 자각적인 추위가 느껴진다고 하였다. 水入則吐, 복만감, 잔뇨감, 변비가 호전되어 裏證이 어느 정도로 해소된 것으로 보아 백하오군자탕(白何烏君子湯, Table 2)을 처방하였다.

6) 2021년 09월 08일 : 복부 단순 촬영상 R/O Constipation. Improved localized ileus on LUQ (Fig. 2)으로 증상의 개선이 확인되나 지속적인 장폐쇄 양상을 보인다.

Fig. 2

21.09.08 x-ray abdomen erect, supine.

7) 2021년 09월 10일 : 소화불량과 오심 호전(VAS 4)되어 식사량 일반식 1/2 공기와 과일 소량 섭취 유지되고 900 mL가량 음수하여도 구토하는 증상 발생하지 않았다. 1회/일 정상변 양상으로 배변하였다. 배뇨 횟수는 유지하였으나 배뇨 시 배변은 하지 않았고, 잔뇨감이 호전되었다. 전신위약도 회복되어 보행기 없이 자가 보행으로 보호자 부축 하에 150 m가량 보행하였다.

8) 2021년 09월 11일 : 소화불량과 오심 유지(VAS 4)와 복통 호전(VAS 2) 보이며, 식사량 증가와 식후 복만감 완화되고, 자가 보행 200 m가량으로 증가하였다. 제반 증상 호전으로 퇴원 후 통원치료 하기로 결정하였다.

9) 2021년 09월 13일 : 자택에서는 유동식 섭취 시 식후 복만감이 덜하여 3/4 공기 정도로 식사량은 증가하였다. 소화불량은 퇴원 후 더욱 호전(VAS 3) 되었고 오심은 소실되었다. 자각적인 추위가 없어졌으며, 1회/일 상열감과 식은땀이 동반된다고 하였다. 자가보행으로 300 m가량 가능하며 다리에 힘이 붙는다고 하였다. 제반 증상을 고려하여 백하오군자탕가인삼(白何烏君子湯加人蔘, Table 3)을 처방하였다.

10) 2021년 09월 17일 : 복부 단순 촬영 상 Localized ileus on LUQ within large bowels and RUQ within small bowels(Fig. 3) 보이나 대장 하부의 가스가 감소하였다.

Fig. 3

21.09.17 x-ray abdomen erect, supine.

11) 2021년 09월 28일 : 유동식 대신에 일반식으로 1/2 공기로 식사하여도 소화도 잘 되었고, 자가보행 400 m 가능하였다. 그러나 2021년 09월 26일, 보호자가 임의로 달여온 누에가 포함된 상세불명의 추출물을 2일간 마신 뒤, 다시 소화불량과 오심(VAS 5)이 심화되었으며 음수량 500 mL가량으로 저하되었다. 복통도 미약하게 심화(VAS 3)되었다. 대변은 1회/2-3일 간격으로 변비가 다시 생겼다고 하여 즉시 추출물 복용 중단 지시하였다. 최근 아침에 일어나면 식은땀이 많이 나며, 일과 중에도 진땀이 보인다고 한다. 그러나 자각적인 추위는 소실되어 취침 시 전기장판을 틀지 않고 잔다고 하였다. 보행을 시작하면서 양측 다리가 붓는다고 하였으나 힘은 유지되었다고 한다. 제반 증상을 고려하여 팔물군자탕(八物君子湯, Table 4)을 처방하였다.

12) 2021년 10월 05일 : 소화불량과 오심이 호전되었고(VAS 2), 복통은 소실되었다. 식사량도 회복되었으며 식은땀도 많이 줄었다고 한다. 추적관찰을 위하여 복부 단순 촬영의 필요성을 환자에게 알렸으나, 임상 증상 호전되어 환자분 스스로 복부 단순 촬영을 거부하여 영상학적인 추적 관찰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마비성 장폐쇄에 대한 치료를 종료하였다. 환자의 치료 경과와 환자의 증상 변화를 도식화하였다(Fig. 4, 5).

Fig. 4

timeline of progress.

Fig. 5

The change of patient’s symptoms.

Ⅲ. 고 찰

장폐쇄의 기전은 실제로 장관이 폐쇄되는 기계적 폐쇄와 실제 장관의 폐쇄는 없으나 소화관의 운동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마비성 장폐쇄로 분류한다. 장폐쇄의 위치나 정도에 따라, 병태생리학적인 차이에 의한 분류도 사용되지만, 치료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정확한 감별을 해야 한다3. 장폐쇄 환자의 증상으로는 급경련성 복통, 복부팽만, 구토, 변비 등이 있다. 마비성 장폐쇄 또는 가성 폐쇄 환자는 복부팽만은 있지만 급경련성 복통은 일반적으로 없고, 구역이나 구토가 없을 수도 있다. 계속된 규칙적인 배변이나 가스 배출로 마비성 장폐쇄를 완전 기계적인 장폐쇄와 구분하기도 된다. 진단 영상 검사에서 복부 단순 촬영은 바로선(upright) 영상 또는 누운 상태에서의 측면 영상(cross-table lateral view)를 포함해야 하고 60%에서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소장폐쇄에서는 2.5 cm 초과로 확장된 공기와 물로 채워진 소장 루프가 계단(staircasing) 양상을 보이며 대장에서는 공기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고, 대장폐쇄 환자의 복부 단순 촬영에서는 전형적으로 대장이 확장되어 있다. 마비성 장폐쇄 환자는 기저 병인이 치료되는 동안 정맥내 수액 공급과 비위관 감압을 통해 보존적으로 치료한다1.

한의학적으로 장폐쇄는 痛, 嘔, 脹, 閉를 주요 임상증상으로 하나, 주로 閉로 인하여 痛, 嘔, 脹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치료의 원칙은 通胕散結이며 임상 증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치료해야 한다. 장폐쇄를 일으키는 원인을 腑實熱結, 寒結腸腑, 食滯內積, 血瘀腸腑로 구분할 수 있다. 원인이 腑實熱結인 경우 瀉熱通胕, 寒結腸腑인 경우 溫寒通腑, 食滯內積인 경우 消道通腑하며, 血瘀腸腑인 경우 祛瘀通腑하여 치료의 원칙으로 삼는다3.

본 환자의 체형기상과 용모사기, 평소 적은 식사량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소화불량과 적은 음수량과 잔뇨감 증상은 있으나 배변이 평소 불편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여 少陰人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내원시 食後則吐, 水入則吐하고 대소변불리 및 얼굴과 하지의 부종, 畏熱, 畏寒이 보였다. 이는 水穀寒氣로 인하여 腎局의 陽氣가 脾局으로 오르지 못하여 膀胱鬱縮이 발생하였다고 보아 腎受熱表熱病의 鬱狂證으로 진단하였고 小腹硬滿, 大便秘燥, 腹滿의 증상을 통하여 大腸怕寒證으로 진단하였으며5, 현증에서 전신위약이 심하여 下利보다 和解의 치법을 선택하였다. 東醫壽世保元 少陰人 腎受熱表熱病論에서 “論曰 此證 其人如狂者 腎陽困熱也 小腹硬滿者 大腸怕寒也 二證俱見 當先其急 腎陽困熱則當用 川芎桂枝湯 黃芪桂枝湯 八物君子湯 升補之 大腸怕寒則當用 藿香正氣散 香砂養胃湯 和解之 若外熱包裡冷而 毒氣重結於內 或 將有養虎遺患之弊則 當用 ​​巴豆丹 下利一二度 因以藿香正氣散 八物君子湯 和解而 峻補之”이라 하였다4. 大腸怕寒의 증상인 小腹硬滿, 大便秘燥, 腹滿을 바탕으로, 이를 바탕으로 和解를 위하여 香砂養胃湯을 처방하였다. 8일간의 香砂養胃湯 복용 후 소화불량과 오심, 복통이 개선되었으며 구토는 소실되었다. 식사량도 늘어 일반식 1/2 공기 유지하며, 보행 시 부축이 필요하나 보행기를 사용한 보행이 가능하였다. 대소변불리 증상, 얼굴과 족부의 부종 호전되어 裏證이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보여졌다. 東醫壽世保元 少陰人 腎受熱表熱病論에서 “論曰右諸證 當用藿香正氣散 香砂養胃湯 八物君子湯.”이라 하였다4. 香砂養胃湯 복용 후 大腸怕寒 증상과 자가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전신위약도 호전을 보였다. 그러나 더운 여름에도 환자는 전기장판을 틀고 잘 정도로 지속적인 畏寒을 호소하였다. 寒證을 고려하여 升陽益氣 위주가 아닌 溫補를 위하여 八物君子湯에서 人蔘을 제외하고 白何首烏를 추가한 白何烏君子湯을 처방하였다6. 7일간 白何烏君子湯 복용 후, 식사량이 3/4 공기 정도로 증가하였고, 자가보행 거리도 300 m가량으로 증가하였다. 오심과 구토는 소실되었고, 복통도 호전을 보였다. 이후 畏寒이 감소하여 升陽益氣를 위하여 人蔘 1 g을 추가한 白何烏君子湯加味方을 처방하였다. 증상의 호전을 보이던 중, 보호자가 임의적으로 달여온 누에가 포함된 상세불명의 추출물을 복용한 뒤 소실되었던 오심과 변비가 재발하였고 복통도 미약하게 심화되어 즉시 중단 지시하였다. 기존의 치료로 畏寒은 없어져 전기장판을 틀지 않고 잔다고 할 정도로 호전이 되고 오히려 열감이 많이 난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溫補를 멈추고 추가적인 升陽益氣를 위하여 八物君子湯을 처방하였다. 9일간 八物君子湯을 복용한 후 환자 제반증상 호전을 보이고 전신위약도 회복되어 일상생활이 가능하게 되어 마비성 장폐쇄의 치료를 종결하였다(Fig. 4, 5).

본 증례의 제한점으로는 치료 종결을 앞당길 수 있었으나, 보호자의 개입으로 상세불명의 누에 성분이 포함된 추출물을 복용하여 어떠한 성분이 환자의 증상을 재차 심화하게 하여 치료 기간이 연장 되었는지 설명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외래 내원 기간과 상세불명의 추출물 복용 간격이 짧아 즉시 복용을 중단시킬 수 있었다. 또한 한약 치료 뿐만이 아니라 초기 탈수와 영양 부족을 방지하기 위한 수액치료와 병행된 침구치료 또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입원 치료 후 외래 치료과정에서 상세불명의 추출물을 복용한 뒤 증상이 심화되었던 점과 내원하지 않은 경우 환자는 한약 치료만을 진행하였으므로 복용한 한약의 효용성이 소화기 증상에 중요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치료 종결 전 환자의 단순 복부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도 치료 평가에 미비하다고 볼 수 있으나 임상증상이 호전되어 환자가 촬영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치료 평가의 아쉬운 점으로 사료된다.

장폐쇄의 한의 치료로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13개의 논문에서 29례가 보고되었다. 下利를 위주로 한 치험례로 김7은 파두를 사용한 2례, 임 등8, 이 등9, 이 등10은 대승기탕을 보류관장액으로 사용한 각 12례, 2례를, 1례, 박 등11은 글리세린 관장을 겸한 1례를 보고하였다.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마비성 장폐쇄 치험례로 고 등12은 마비성 장폐쇄와 요로감염을 동반한 1례를, 정 등13은 태음인 장폐쇄 환자에게 청폐사간탕 등을 처방한 치험 3례를, 이 등14은 유기음자로 치료한 치험 1례를 보고하였다. 또한 김 등15은 곽향정기산 가감방 등을 처방한 1례를, 고 등16은 내소산을 처방한 1례를, 오 등17은 삼령백출산 가감방과 소음인 보중익기탕을 처방한 마비성 장폐쇄 치험 2례를 보고하였다. 공 등18은 소양인 위수열리열병으로 진단한 치험 1례를, 하 등19은 정전가미이진탕 등을 처방하여 만성 거짓 장폐쇄를 치료한 1례를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다수의 한의 치료를 통하여 마비성 장폐쇄의 한의 치료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이 보여진다. 이 중 사상의학적 변증을 통한 다수의 치험례들이 마비성 장폐쇄에 대한 대증 처방이 아니라 환자를 사상체질을 구분하여 각 체질에 해당하는 병리기전으로 병리현상의 변화에 맞추어 한의 치료를 진행하였고, 본 증례에서도 환자의 사상체질과 병리현상의 변화에 맞추어 치료를 적용하였다.

소음인으로 진단 후 下利가 아닌 和解하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험례들은 보였으나, 본 증례의 경우처럼 환자의 증상 중 畏寒을 참고하여 升陽益氣 보다 溫補하여 離冷을 축출하여 脾局의 자연스러운 生陽과 升陽을 목적으로 白何烏君子湯을 사용한 치험례는 보이지 않았다. 腎受熱表熱病의 鬱狂證으로 진단된 환자 중 畏寒이 심화된 환자에게 白何首烏와 人蔘의 적용에 대하여 환자의 치료에 접목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Ⅵ. 결 론

별무원인으로 장관 운동 부전이 발생한 환자를 少陰人 腎受熱表熱病 鬱狂證으로 진단 후 한의 치료를 통하여 임상 증상의 호전을 보이고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compilation committee.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e. 3 Seoul: MIP; 2015. p. 2850–5.
2.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NUH Manual of Medicine 3e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16. p. 233–5.
3. National Association of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in Korean Medicine. Korean Gastroenterology Seoul: Koonja; 2008.
4. Koh BH, Goo DM, Kim GY, Kim DR, Kim IH, Kim JY, et al.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Jipmundang; 2004.
5. Bae HS, Kim YH,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ngestive Hyperpsychotic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1):27–36.
6. Park BJ, Kwon JH, Lee EJ, Koh BH. The Origin, Changes and Compositive Principles of Palmulgunja-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0;22(4):1–9.
7. Kim IS. The Clinical Study of 2 Cases of Acute Paralytic Ileus Treated with Crotonis Fructus. J Int Korean Med 1993;14(1):82–91.
8. Lim JS, Moon BS. The Clinical Study of 12 Cases of Paralyric Ileus Patients Treated with Bo-Ryu Enema. J Int Korean Med 1999;20(1):210–21.
9. Lee NH, Yoon DH, Lee JY, Chae EY, Yoo HS, Cho JH, et al. A Clinical Report on Retention Enema Therapy for Patients with Ileus. J Int Korean Med 2004;25(4):364–72.
10. Lee HG, Jeong YK, Jung MH, Jung WS, Moon SK, Cho KH. Clinical Report on a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ith Paralytic Ileus Treated by Bo-ryu Enema and Daeshiho-tang. J Int Korean Med 2016;37(2):225–31.
11. Park JH, Song CH, Cho HS, Kim JC, Lee JE, Ha J, et al. A Case Report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Acute Paralytic Ileus. J Int Korean Med 2005;26(4):946–53.
12. Ko JC, Park JY, Ju CY, Han YH. A Case of paralytic ileus and Urinary Tract Infection with cerebral infarction. J Int Korean Med 2001;22(3):471–6.
13. Jung JH, Sun JJ, Choi CM, Kim SM, Kim CH, Min IG, et al. Three Cases Study of Paralytic Ileus with cheongpyesagan-tang. J Int Korean Med 2006;fal:56–63.
14. Lee JH, Park HL, Lee HY, Hong MN, Cho JH, Choi JY, et al. A Case Report of Brain Injury Patient with Ileus Treated with Yugieum-ja. J Int Korean Med 2015;fal:89–94.
15. Kim SY, Choi YJ, Son JS, Kim NY, Jeong JC. A Clinical Report of One Old Aged Patient with Paralytic Ileus by Gwakhyangjeonggi-san. J Int Korean Med 2014;fal:274–9.
16. Ko SW, Park JI, Kong KH, Go HY. A Case Study of Paralytic ileus with Meteorism Patient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J Int Korean Med 2014;fal:190–4.
17. Oh EY, Son KW, Park JH. Two Cases of patients with Acute Paralytic Ileus Treated by Electro- acupuncture Combin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s. J Int Korean Med 2014;fal:159–66.
18. Kong WH, Nam WJ, KIM BS, Park YB, Park YL, Baek JW, et al. A Case Report of using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a Paralytic Ileus Patient. J Int Korean Med 2020;41(2):275–82.
19. Ha YB, Jang HS, Shin GC. A Case Report on Chron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Presenting as Unspecified Abdominal Pain in an Adult. J Int Korean Med 2021;42(5):1094–11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21.08.31 x-ray abdomen erect, supine.

Table 1

The Composition of Hyangsayangwi-tang

Herbal name Scientific name Amount (g)
人 蔘 Panax ginseng Radix 1.0
白 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1.0
白芍藥 Paeonia lactiflora Pallas 1.0
灸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1.0
半 夏 Pinellia ternata (Thunb.) Breitenbach 1.0
香附子 Cyperus rotundus L 1.0
陳 皮 Citrus unshiu Markovich 1.0
乾 薑 Zingiber officinale Roscoe 1.0
砂 仁 Amomum villosum Lour 1.0
白豆窛 Amomum cadamomum L 1.0
山 査 Crataegus pinnatifida Bunge 1.0
Total 11.0

Table 2

The Composition of Baekhaogunja-tang

Herbal name Scientific name Amount (g)
白何首烏 Cynanchi Wolfordii Radix 2.0
黃芪 (蜜) Astragali Radix 1.0
白 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1.0
白芍藥 Paeonia lactiflora Pallas 1.0
當 歸 Angelicae Gigantis Radix 1.0
川 芎 Cnidium Rhizome 1.0
陳 皮 Citri Unshius Pericarpium 1.0
灸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1.0
生 薑 Zingiber officinale 1.0
大 棗 Zizyphi Fructus 1.0
Total 11.0

Table 3

The Composition of Baekhaogunja-tang-gami

Herbal name Scientific name Amount (g)
白何首烏 Cynanchi Wolfordii Radix 2.0
人 蔘 Panax ginseng Radix 1.0
黃芪 (蜜) Astragali Radix 1.0
白 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1.0
白芍藥 Paeonia lactiflora Pallas 1.0
當 歸 Angelicae Gigantis Radix 1.0
川 芎 Cnidium Rhizome 1.0
陳 皮 Citri Unshius Pericarpium 1.0
灸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1.0
生 薑 Zingiber officinale 1.0
大 棗 Zizyphi Fructus 1.0
Total 12.0

Table 4

The Composition of Palmulgunja-tang

Herbal name Scientific name Amount (g)
人 蔘 Panax ginseng Radix 2.0
黃芪 (蜜) Astragali Radix 1.0
白 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1.0
白芍藥 Paeonia lactiflora Pallas 1.0
當 歸 Angelicae Gigantis Radix 1.0
川 芎 Cnidium Rhizome 1.0
陳 皮 Citri Unshius Pericarpium 1.0
灸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1.0
生 薑 Zingiber officinale 1.0
大 棗 Zizyphi Fructus 1.0
Total 11.0

Table 5

The Composition of Infusion Solution

Product type Product name Ingredient (s) Dose Date
Proteinogenic amino acid Multiflex Peri Inj. Calcium Chloride Hydrate 0.331 g, Glucose 120 g, Magnesium Chloride 508 mg, Potassium Chloride 1491 mg, Sodium Chloride 321 mg (per 500 mL), Glycine 2980 mg, L-Alanine 1.50 g, L-Arginine 2.03 g, L-Cysteine Hydrochloride Hydrate 0.05 g, L-Histidine 0.60 g, L-Isoleucine 1.48 g, L-Leucine 1.93 g, L-Lysine Acetate 2.18 g, L-Methionine 1.13 g, L-Phenylalanine 1.20 g, L-Proline 2.38 g, L-Serine 1.25 g, L-Threonine 0.85 g, L-Tryptophan 0.33 g, L-Valine 1.4 g,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0.68 g, Sodium Acetate Hydrate 4.015 g (per 600 mL) 1P (1100 mL) QD IV 21.08.31

Proteinogenic amino acid Nutri Hex Inj. D-Sorbitol 3 g, L-Leucine 0.22 g, L-Lysine Hydrochloride 0.2474 g, Glycine 0.42 g, L-Alanine 0.45 g, L-Arginine 0.36 g. L-Histidine 0.09 g, L-Isoleucine 0.15 g, L-Methionine 0.129 g, L-Phenylalanine 0.153 g, L-Proline 0.45 g, L-Threonine 0.132 g, L-Tryptophan 0.06 g, L-Valine 0.186 g, Xylitol 3 g (per 100 mL) 1P (250 mL) QD IV 21.09.01,
21.09.03,
21.09.04,
21.09.05

Antiemetics Macperan Inj. Metoclopramide (5 mg/mL) 1A (2 mL) QD IV 21.09.02, 21.09.03, 21.09.04, 21.09.05

Proteinogenic amino acid Dodeamin Inj. Glycine 9.44 g, L-Aspartic Acid 2.39 g, L-Alanine 19.38 g, L-Arginine 12.08 g, L-Glutamic Acid 6.25 g, L-Histidine 4.13 g, L-Isoleucine 7.31 g, L-Leucine 7.8 g, L-Lysine Acetate 12.53 g, L-Methionine 5.85 g, L-Ornithine Hydrochloride 3.02 g, L-Phenylalanine 6.75 g, L-Proline 9.38 g, L-Serine 5.38 g, L-Threonine 6.25 g, L-Tryptophan 2.5 g, L-Valine 6.25 g, N-Acetyl-L-Cysteine 0.84 g, N-Acetyl-L-Tyrosine 2.5 g (per 1 L) 1P (250 mL) QD IV 21.09.08,
21.09.10

Fig. 2

21.09.08 x-ray abdomen erect, supine.

Fig. 3

21.09.17 x-ray abdomen erect, supine.

Fig. 4

timeline of progress.

Fig. 5

The change of patient’s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