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증 례
<증례 1>
1. 환 자 : 변⃝⃝ 여/58세
2. 입원기간 : 2020년 12월 03일~2020년 12월 22일(총20일간)
3. 임상적 진단명 :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경추간판장애(M501)
4. 주소증
1) 하요추부 통증 및 우측 하지 저림증
2) 양쪽 족관절 통증
3) 양쪽 슬관절 통증
5. 발병일
1) 2020년 11월경 일상생활 중 發
2) 2020년 9월경 일상생활 중 發
3) 2020년 6월경 일상생활 중 發
6. 과거력 : 대장선종제거술(2020년 11월경) 고혈압(2012년 6월경)
7. 현병력 상기 환자는 보통 성격, 신장 161 cm 체중 78 kg의 건장한 체격의 58세 여환으로 상기 발병일에 상기 주소증상 발생하여 ⃝⃝통증의학과에서 양측 무릎 X-ray 상 “퇴행성 관절염 초기이다.” 소견을 듣고 연골주사 1회, 체외충격파 3회 받았으며 요추부 통증 관련하여 디스크 가능성 의심되어 적극적 한방치료를 위해 2020년 12월 3일 본원 외래 경유하여 자력보행으로 입원함
8. 주요 검사소견
1) 활력징후 : 혈압 160/100 mmhg, 맥박 94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9도
2) L-SPINE MRI(2020년 12월 04일)
(1) L2-3-4, L5-S1 : bulging disc.
(2) L4-5 : broad based disc herniation.
(3) Osteoarthritic changes with bone marrow edema at Rt facet joint of L5-S1.
3) C-SPINE MRI(2020년 12월 10일)
(1) C3-4-5-6 : central disc herniation. → compression of spinal cord at C5-6.
(2) C6-7 : broad based disc herniation.
4) Lab 검사결과(2020년 12월 04일) : within normal limit(이하 WNL)
9. 치료방법
1) 약물치료(
Table 1) 입원기간 동안 자생한방병원 원내 처방인 청파전-H은 2첩 3포 120 cc로 전탕하였고 청신바로환은 1포당 3 g으로 조제하였고 관절고는 1환당 8 g으로 조제하여 각각 1일 3회에 걸쳐 매 식후 30분에 복용하였다. 2020년 12월 08일부터 2020년 12월 13일까지, 2020년 12월 18일부터 2020년 12월 22일까지 불면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자생한방병원 원내 처방인 牛黃淸心元 1환(
Table 2)을 취침 전 21시경 1일 1회 복용하였다. 牛黃淸心元 복용 중 기력저하 증상의 호전을 위해 2020년 12월 09일에는 牛黃淸心元에서 浮小麥 0.017 g 가미한 우황감맥원을 복용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Herbal Medicine Used for Treatment
Name of herbal medicine |
Herb (common name, amount (g)) |
Chungpajun-H
|
五加皮(Acanthopanacis Cortex, 7.5), 杜冲(Eucommiae Cortex, 7.5), 防風(Saposhnikoviae Radix, 7.5), 牛膝(Achyranthesbidentata Bl.,7.5), 狗脊(Cibotii Rhizoma, 7.5), 白朮(Atractylodis Rhizoma Alba, 3.75), 砂仁(Amomi Fructus, 3.75), 玄草(Geranii Herba, 3.75), 乾薑 (Zingiberis Rhizoma, 1.875), 蜈蚣(Scolopendra, 0.375), 甘草(Glycyrrhizae Radix, 2) |
Chungsinbaro -hwan
|
白茯苓(Poriacocos(Schw.) Wolf, 0.156), 人蔘(Ginseng Radix Alba, 0.078), 牛膝(Achyranthesbidentata Bl., 0.052), 阿膠(Asini Gelatinum, 0.019), 生地黃(Rehmanniae Radix, 0.623), 鹿角膠(Cervi Cornus Colla, 0.065), 蜂蜜(Mel, 0.312), 狗脊(Cibotii Rhizoma, 0.052), 杜冲(Eucommiae Cortex, 0.026), 防風(Saposhnikoviae Radix, 0.013), 五加皮(Acanthopanacis Cortex, 0.013), 蜈 蚣(Scolopendra, 0.013), 白朮(Atractylodis Rhizoma Alba, 0.052), 牛膽(Bovis Fel. 0.026) |
Gwanjul-go
|
白茯苓(Poriacocos(Schw.) Wolf, 1.634), 人蔘(Ginseng Radix Alba, 0.817), 牛膝(Achyranthesbidentata Bl., 0.204), 阿膠(Asini Gelatinum, 0.102), 生地黃(Rehmanniae Radix, 3.268), 鹿角膠(Cervi Cornus Colla, 0.34), 蜂蜜(Mel, 1.634) |
Table 2
The Composition of Woohwangchungsim-won per One Pill
Herbal name |
Botanical name |
Dose (g) |
山 藥 |
Dioscoreae Rhizoma
|
1.052 |
甘 草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
0.752 |
人 蔘 |
Ginseng Radix Alba
|
0.376 |
蒲 黃 |
Typhae Pollen
|
0.376 |
神 麯 |
Massa Medicata Fermentat
|
0.376 |
水牛角 |
Bubalus bubalis
|
0.301 |
大豆黃卷 |
Glycine Semen Germinatum
|
0.263 |
肉 桂 |
Cinnamomi Cortex
|
0.263 |
阿 膠 |
Asini Corii Colla
|
0.263 |
白芍藥 |
Paeonia obovata var
|
0.226 |
麥門冬 |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
0.226 |
黃 芩 |
Scutellariae Radix
|
0.226 |
當 歸 |
Angelicae Gigantis Radix
|
0.226 |
防 風 |
Saposhnikoviae Radix
|
0.226 |
白 朮 |
Atractylodis Rhizoma Alba
|
0.226 |
柴 胡 |
Bupleurm falcaum
|
0.188 |
桔 梗 |
Platycodonis Radix
|
0.188 |
大 棗 |
Zizyphi Fuctus
|
1.174 |
牛 黃 |
Bovis Calculus
|
0.028 |
沈 香 |
Aquilariae Lignum
|
0.028 |
龍 腦 |
Bomeolum
|
0.019 |
2) 침치료 : 한방병원 근무일수가 1년 이상인 한의사가 각 환자에게 0.20×30 mm stainlesssteel (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 충남 보령,한국)을 사용하여 1일 2회 10분간 유침하였다. 鍼은 족태양방광경의 경락을 따라 통증을 호소하는 아시혈 부위 및 근처 혈자리에 자침하였다.
3) 약침치료 : 약침치료는 1일 2회 신바로2약침(자생약침연구소)을 해당 추간판탈출증 부위 주변 아시혈 및 경직된 주변 경근 부위에 자침하였다.
4) 한방물리요법 : 한방물리요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나치료, 극초단파요법(microwave), 경근저주파요법, 경근견인치료, 심부훈증경락약찜요법을 주 5회 시행하였다.
10. 평가방법
1) 주관적 수면상태 평가 : 수면상태와 수반증상의 호전 정도를 내원 당시를 기준으로 문진을 통해 Morning questionnaire 및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였다. 입원기간 동안 매일 오전 7시 문진을 진행하였다.
2) European Quality of life 5 Dimension(EQ5D) : 일중 환자의 삶의 질 측정 도구로 EQ5D를 이용하였다. 점수는 1점을 만점으로 기준하여 삶의 질이 높은 선지순으로 1~5점을 측정해 문항별 선택점수의 합/문항별 만점의 합으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시, 입원 7일차, 퇴원시 EQ5D score를 측정하였다.
3) Numeral Rating Scale(NRS) :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통증 측정도구로 수치평가척도(NRS)를 이용하였다. 통증이 전혀 없는 상태를 1로 기준하여 숫자가 높을수록 극심한 통증상태로 보고 최대 통증 상태를 10으로 매겨 환자가 직접 본인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점검하였다. 입원기간 동안 매일 오전 7시 측정하였다.
11. 치료경과(
Table 3) 상기 환자 하요추부 및 발목, 무릎 통증으로 수면 중 빈번히 깨어났으며 입원시 수면 중 4번 정도 통증으로 인해 기상하였다. 환자분 수면 중 깨어나고 다시 수면하는데 30분-1시간 정도 소요된다고 하시며 밤 10시경부터 새벽 5시경까지 잤지만, 수면 중 자주 깨서 숙면상태의 수면시간은 4-5시간 정도라고 하였다. 입원시 통증 관련 NRS는 4~6 사이, EQ5D는 0.582였다. 수면의 질이 낮아지면서 주간에 지속적으로 낮잠 욕구를 호소하였고 치료받는 시간 외 모두 침상에 누워 있는 편이라고 하셨다. 입원 6일차부터 牛黃淸心元 복용 후 환자분 수면 중 깨어난 횟수가 2번으로 줄었고 입원 이후 처음으로 5시간 연달아 숙면하였다. 또한 오전 중 졸린 증상을 호소하지 않아 통증치료시간 이외 개별활동도 1시간가량 진행하였다. 입원 7일차에 장기간 불면으로 인한 기력저하 증상을 고려하여 牛黃減脈元 1환을 복용하도록 하였으나 수면 중 각성빈도 증가로 인해 수면의 질이 악화되었다. 입원 8일차부터 다시 牛黃淸心元 복용하였고 입원 10일차부터는 수면 중 깨어난 횟수가 화장실 방문 1회 포함하여 2회 정도 일어났으며 깨어난 후 다시 잠드는 것이 입원시보다 빨라져서 5시간 깨지 않고 숙면하였다. 통증의 NRS 5로 호전되었다. 환자분 입원했을 때보다 2시간 더 자고 아침에 피곤하지도 않아 약 복용을 멈춰보고 싶다고 하시어 牛黃減脈元 복용을 중단하였다. 이후 입원 12일차부터 입원 15일차까지 牛黃減脈元 복용 없이 평균 수면시간 5-6시간 정도로 유지하였고 주간시간 동안 졸림 욕구 없이 2시간 이상 산책이나 개인 운동을 하였다. 이후 환자분 수면상태에 대한 추가적인 호전을 희망하여 입원 16일차부터 다시 牛黃淸心元 1환을 투여하였다. 이후 숙면상태의 수면을 7시간으로 유지하였고 기상 후 피로감 없이 주간활동이 가능해졌다. 퇴원시에는 평균 6-7시간 수면 중 각성 없이 6-7시간 정도 숙면을 하였다. 전반적인 통증 정도는 NRS 1~2로 입원시보다 절반 이상 호전되었고 EQ5D 0.766으로 일상 생활시 수면 및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 없는 상태로 퇴원하게 되었다.
Table 3
Change of Symptoms in Case 1
Date |
12/3-8 |
12/9 |
12/10 |
12/11 |
12/12 |
12/13-16 |
12/17-18 |
12/19-20 |
12/21 |
12/22 |
Sleep latency (min) |
180 |
100 |
180 |
180 |
150 |
150 |
60 |
20 |
20 |
20 |
Total sleep time (min) |
240 |
300 |
240 |
240 |
300 |
300 |
420 |
420 |
360 |
420 |
Number of awakenings |
4 |
2 |
3 |
2 |
2 |
2 |
1 |
0 |
0 |
0 |
Sleep quality*
|
25 |
50 |
25 |
25 |
25 |
25 |
50 |
75 |
75 |
100 |
Condition upon awakening†
|
25 |
50 |
25 |
50 |
50 |
50 |
75 |
75 |
75 |
100 |
Ease of falling asleep‡
|
100 |
80 |
100 |
100 |
80 |
80 |
20 |
20 |
30 |
20 |
Morning sleepiness§
|
100 |
80 |
100 |
80 |
80 |
80 |
50 |
50 |
20 |
20 |
<증례 2>
1. 환 자 : 박⃝⃝ 남/60세
2. 입원기간 : 2020년 12월 03일~2020년 12월 22일(총20일간)
3. 임상적 진단명 : 상세불명의 경추간판장애(M509),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M511)
4. 주소증
1) 경추부 통증 및 좌측 상완 통증
2) 하요추부 통증
5. 발병일 : 2020년 11월 28일경 일상생활 중 發
6. 과거력 : 협심증스탠트시술(2015년 06월경) 경추추간판탈출증(2003년 06월경)
7. 현병력 : 상기 환자는 보통 성격, 신장 167 cm 체중 78 kg의 건장한 체격의 60세 남환으로 상기 발병일에 상기 주소증상 발생하여 ⃝⃝한의원에서 별무촬영 후 침치료 2회 받았으며 경추부 통증에 대해 디스크 가능성 의심되어 적극적 한방치료를 위해 2020년 12월 3일 본원 외래 경유하여 자력보행으로 입원함.
8. 주요 검사소견
1) 활력징후 : 혈압 120/80 mmhg, 맥박 95 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9도
2) MRI(2부위) (2020년 12월 04일)
(1) C4-5 : central disc herniation. → compression of spinal cord.
(2) C5-6 : diffuse bulging and Rt central extrusion. → compression of spinal cord. → hypertrophy of UVJs and narrowing of both neural foramens (Lt >> Rt).
(3) C6-7 : broad based disc herniation. → compression of spinal cord. → hypertrophy of UVJs and narrowing of both neural foramens (Rt >> Lt).
(4) C7-T1-2 : diffuse bulging disc.
(5) L2-3-4-5-S1 : diffuse bulging disc. → R/O central disc protrusion at L2-3.
3) Lab 검사결과(2020년 12월 04일) : HBs Ag(+)/ HBs Ab(-) 이외 WNL
9. 치료방법
1) 약물치료(
Table 1) : 입원기간 동안 자생한방병원 원내 처방인 청파전-H은 2첩 3포 120 cc로 전탕하였고 청신바로환은 1포당 3 g으로 조제하였고 관절고는 1환당 8 g으로 조제하여 각각 1일 3회에 걸쳐 매 식후 30분에 복용하였다. 2020년 12월 08일부터 2020년 12월 13일까지, 2020년 12월 18일부터 2020년 12월 22일까지 불면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자생한방병원 원내 처방인 牛黃淸心元 1환(
Table 2)을 취침 전 21시경 1일 1회 복용하였다. 牛黃淸心元 복용 중 기력저하 증상의 호전을 위해 2020년 12월 09일에는 牛黃淸心元에서 浮小麥 0.017 g 가미한 우황감맥원을 복용하였다.
2) 침치료 한방병원 근무일수가 1년 이상인 한의사가 각 환자에게 0.20×30 mm stainlesssteel(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 충남 보령, 한국)을 사용하여 1일 2회 10분간 유침하였다. 鍼은 족태양방광경과 수태양소장경의 경락을 따라 통증을 호소하는 아시혈 부위 및 근처 혈자리에 자침하였다.
3) 약침치료 : 약침치료는 1일 2회 신바로2약침(자생약침연구소)을 해당 추간판탈출증 부위 주변 아시혈 및 경직된 주변 경근 부위에 자침하였다.
4) 한방물리요법 : 한방물리요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나치료, 극초단파요법(microwave), 경근저주파요법, 경근견인치료, 심부훈증경락약찜요법을 주 5회 시행하였다.
10. 평가방법
1) 주관적 수면상태 평가 : 수면상태와 수반증상의 호전 정도를 내원 당시를 기준으로 문진을 통해 Morning questionnaire 및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였다. 입원기간 동안 매일 오전 7시 문진을 진행하였다.
2) European Quality of life 5 Dimension(EQ5D) : 일중 환자의 삶의 질 측정 도구로 EQ5D를 이용하였다. 점수는 1점을 만점으로 기준하여 삶의 질이 높은 선지순으로 1~5점을 측정해 문항별 선택점수의 합/문항별 만점의 합으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시, 입원 7일차, 퇴원시 EQ5D score를 측정하였다.
3) Numeral Rating Scale(NRS) :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통증 측정도구로 수치평가척도(NRS)를 이용하였다. 통증이 전혀 없는 상태를 1로 기준하여 숫자가 높을수록 극심한 통증상태로 보고 최대 통증 상태를 10으로 매겨 환자가 직접 본인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점검하였다. 입원기간 동안 매일 오전 7시 측정하였다.
11. 치료경과(
Table 4) 상기 환자 경추부 및 요추부 통증을 호소하면서 수면 중 2회 이상 깨는 편이라고 하였다. 입원 시에는 야간 시 통증으로 3회 정도 일어났고 밤 10시경부터 새벽 4시경까지 수면을 하였으나 숙면상태의 수면시간은 3시간 정도라고 하셨다. 입원 시 상기 통증의 NRS는 4~6 사이, EQ-5D는 1이었다. 입원 5일차까지 만성적인 야간 통증으로 3시간 이하의 수면시간을 유지하였고 수면 중 4회 이상 기상하였다. 또한 환자분 잦은 수면 중 각성으로 수면의 질이 낮아 오전 중 치료시간 이외에는 침상에서 거의 생활하였고 주간 동안 졸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호소하였다. 입원 6일차부터 불면증상 호전을 위해 牛黃淸心元 1환을 복용 후 수면 중 병실소음으로 인한 기상 포함하여 2번 깼으나 4시간 정도 숙면하였다고 하셨다. 입원 8일차부터 입원 10일차까지 환자분 수면 중 2번 정도 각성하였고 깨어남 없이 4-5시간 정도 숙면하였다. 수면상태의 호전으로 오전 기상 시 피곤하지 않은 상태로 통증치료를 받았으나 오후에는 입원시와 유사한 피로감을 호소하였다. 경추부 통증은 NRS 3으로 입원 시보다 절반가량 호전되었으며 요추부 통증은 일상 생활시 불편감을 거의 느끼지 않을 정도로 호소하셨다. 입원 12일차에는 환자분 2번 정도 각성하였으나 깨어남 없이 5-6시간 숙면하였고 주간에 통증치료 이외 산책과 같은 개인운동 30분 정도 진행하였다. 환자분 예전보다 밤에 깨는 증상도 줄어들었고 낮에 피곤하지 않다고 하시며 약 복용을 멈춰보고 싶다고 하시어 牛黃淸心元 복용을 중단하였다. 입원 13일차부터 입원 16일차까지 수면시간은 3시간으로 절반 정도 감소하였고 주간 피로도가 증가하여 통증치료 시 지속적인 피로감을 호소하였다. 수면상태 및 통증 관련 치료호응도 개선을 위해 입원 16일차부터 다시 牛黃淸心元 1환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환자분 牛黃淸心元 복용 다음날부터 수면 중 깨어남 없이 6시간 정도 숙면상태 유지하였으며 기상 후 피로도가 감소하여 낮잠을 자지 않아도 저녁식사 전까지 피곤하지 않다고 하셨다. 퇴원 시에는 수면 중 각성 없이 6-7시간 숙면하였고 주간 피로감도 입원 시보다 절반가량 호전되었다. 후경부 및 하요추부 통증은 NRS 1-3으로 호전되었고 EQ5D 1로 기록되었다.
Table 4
Change of Symptoms in Case 2
Date |
12/3-8 |
12/9 |
12/10 |
12/11 |
12/12 |
12/13-16 |
12/17-18 |
12/19-20 |
12/21 |
12/22 |
Sleep latency (min) |
180 |
150 |
180 |
180 |
100 |
150 |
120 |
100 |
50 |
20 |
Total sleep time (min) |
180 |
240 |
180 |
240 |
300 |
240 |
300 |
300 |
360 |
420 |
Number of awakenings |
3 |
2 |
3 |
2 |
2 |
3 |
2 |
1 |
0 |
0 |
Sleep quality*
|
25 |
25 |
25 |
25 |
25 |
25 |
50 |
75 |
75 |
75 |
Condition upon awakening†
|
25 |
50 |
25 |
50 |
50 |
50 |
50 |
75 |
75 |
75 |
Ease of falling asleep‡
|
100 |
100 |
100 |
100 |
80 |
100 |
60 |
50 |
50 |
30 |
Morning sleepiness§
|
100 |
80 |
100 |
80 |
60 |
80 |
70 |
75 |
60 |
40 |
<증례 3>
1. 환 자 : 변⃝⃝ 여/61세
2. 입원기간 : 2020년 12월 11일~2020년 12월 22일(총 12일간)
3. 임상적 진단명 :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M511)
4. 주소증 : 요추부 통증, 둔부 통증 및 좌측 종아리 통증 및 저림증
5. 발병일 : 2020년 12월 05일경 일상생활 중 發
6. 과거력 : 헬리코박터균감염(2016년 06월경)
7. 현병력 상기 환자는 보통 성격, 신장 160 cm 체중 60 kg의 건장한 체격의 61세 여환으로 상기 발병일에 상기 주소증상 발생하여 요추부 통증 관련하여 디스크 가능성 의심되어 적극적 한방치료를 위해 2020년 12월 10일 본원 외래 경유하여 자력보행으로 입원함.
8. 주요 검사소견
1) 활력징후 : 혈압 130/80 mmhg, 맥박 73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3도
2) L-SPINE MRI(2020년 12월 11일)
(1) L1-2-3-4 : bulging disc.
(2) L4-5-S1 : broad based disc herniation.
3) Lab 검사결과(2020년 12월 12일) : BUN 25.7 Na 146.0 및 소변검사 상 Leukocytes 2+ 외 WNL
9. 치료방법
1) 약물치료(
Table 1) : 입원기간 동안 자생한방병원 원내 처방인 청파전-H은 2첩 3포 120 cc로 전탕하였고 청신바로환은 1포당 3 g으로 조제하였고 관절고는 1환당 8 g으로 조제하여 각각 1일 3회에 걸쳐 매 식후 30분에 복용하였다. 또한 불면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자생한방병원 원내 처방인 牛黃淸心元 1환(
Table 2)을 취침 전 21시경 1일 1회 복용하였다.
2) 침치료 : 한방병원 근무일수가 1년 이상인 한의사가 각 환자에게 0.20×30 mm stainlesssteel (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 충남 보령,한국)을 사용하여 1일 2회 10분간 유침하였다. 鍼은 족태양방광경의 경락을 따라 통증을 호소하는 아시혈 부위 및 근처 혈자리에 자침하였다.
3) 약침치료 : 약침치료는 1일 2회 신바로2약침(자생약침연구소)을 해당 추간판탈출증 부위 주변 아시혈 및 경직된 주변 경근 부위에 자침하였다.
4) 한방물리요법 : 한방물리요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나치료, 극초단파요법(microwave), 경근저주파요법, 경근견인치료, 심부훈증경락약찜요법을 주 5회 시행하였다.
10. 평가방법
1) 주관적 수면상태 평가 : 수면상태와 수반증상의 호전 정도를 내원 당시를 기준으로 문진을 통해 Morning questionnaire 및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였다. 입원기간 동안 매일 오전 7시 문진을 진행하였다.
2) European Quality of life 5 Dimension(EQ5D) : 일중 환자의 삶의 질 측정 도구로 EQ5D를 이용하였다. 점수는 1점을 만점으로 기준하여 삶의 질이 높은 선지순으로 1~5점을 측정해 문항별 선택점수의 합/문항별 만점의 합으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시, 입원 7일차, 퇴원시 EQ5D score를 측정하였다.
3) Numeral Rating Scale(NRS) :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통증 측정도구로 수치평가척도(NRS)를 이용하였다. 통증이 전혀 없는 상태를 1로 기준하여 숫자가 높을수록 극심한 통증상태로 보고 최대 통증 상태를 10으로 매겨 환자가 직접 본인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점검하였다. 입원기간 동안 매일 오전 7시 측정하였다.
11. 치료경과(
Table 5) 상기 환자 입원 7일전부터 하요추부 및 좌측 하지 통증으로 간헐적으로 잠을 깊이 자지 못하였다고 하셨다. 입원 시 수면시간은 4시간 이하로 수면 중 각성 빈도는 2회 정도였으며 입원시부터 牛黃淸心元 1환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입원 시 상기 통증의 NRS는 4-6이며 EQ5D 0.659로 기록되었다. 환자분 입원 4일차에는 수면 중 1회가량 깨어났으나 6시간 숙면하였고 주간 피로감은 입원 시보다 절반 정도로 호전되어 오전 중 활동 시 피로하지 않다고 하셨다. 수면은 6시간 정도로 유지하였고 통증 관련 치료에 대한 호응도가 높아지면서 상기 통증도 점차 호전되었다. 입원 7일차에는 EQ5D 0.73이었으며 수면 중 1회 정도 각성하고 6-7시간 熟眠하였다. 수면 중 깨어나도 30분 이내 잠들었으며 일중 피로도는 입원 시보다 절반으로 떨어졌다. 입원8일차에는 양측 하요추부 통증 및 좌측 하지 통증은 NRS 4로 호전되었다. 이후 평균 7시간 熟眠 및 일중 피로도 4로 유지하였다. 퇴원 시 EQ5D 1로 통증으로 인한 일상 중 불편감이 거의 없어졌으며 상기 통증 NRS 2-3으로 호전 양상을 보였다. 수면 중 각성 없이 7시간 숙면하였고 주간 활동 시 피로감 전혀 느끼지 않은 상태로 퇴원하였다.
Table 5
Change of Symptoms in Case 3
Date |
12/11 |
12/12 |
12/13 |
12/14 |
12/15 |
12/16 |
12/17-18 |
12/19-20 |
12/21 |
12/22 |
Sleep latency (min) |
180 |
150 |
150 |
180 |
80 |
80 |
60 |
50 |
40 |
20 |
Total sleep time (min) |
180 |
300 |
300 |
360 |
420 |
420 |
360 |
420 |
420 |
420 |
Number of awakenings |
2 |
1 |
1 |
1 |
2 |
0 |
0 |
1 |
0 |
0 |
Sleep quality*
|
25 |
25 |
25 |
50 |
50 |
50 |
50 |
75 |
75 |
75 |
Condition upon awakening†
|
25 |
50 |
50 |
50 |
75 |
75 |
75 |
75 |
75 |
100 |
Ease of falling asleep‡
|
100 |
100 |
100 |
60 |
60 |
50 |
40 |
35 |
30 |
30 |
Morning sleepiness§
|
100 |
80 |
80 |
60 |
50 |
40 |
40 |
30 |
30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