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jikm/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3.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Case Report of the Korean Medical Treatment of Dysphagia and Anorexia after Lumbar Compression Fracture
|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 Volume 43(2); 2022 > Article
급성 요추 압박골절 후 발생한 폐렴과 동반된 연하곤란 및 식욕부진에 대한 치험 1례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n a patient with dysphagia and anorexia following an acute lumbar compression fracture.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Bojungikgi-tang and Insamyangyoung-tang), and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were evaluated by monitoring oral feeding and using the Modified Barium Swallow (MBS) test.

Results:

After treatment, the amount of oral feeding more than doubled and the MBS was also improv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y be effective for treating dysphagia and anorexia after an acute lumbar compression fracture.

Ⅰ. 서 론

압박골절은 간접성 골절의 일종이며 추락이나 교통사고, 낙하물에 의한 외상성과 염증성, 골다공증에 의한 것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청장년층에서는 주로 외상으로 발생하며, 노인층에서는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의 저항력이 약해져 엉덩방아를 찧는 단순한 동작에서도 발생하게 된다1. 개발도상국의 인구 노령화 현상에 따라 척추 손상의 원인 중 낙상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2, 낙상으로 인한 노인의 압박골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압박골절이 발생하면 극심한 통증이나 신경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활동 시 약화된 척추체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짐으로 인한 척추체의 후만 변형과 골절의 진행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침상 안정 및 경과관찰이 필요한데, 장기적인 침상 안정으로 인해 골다공증의 악화, 변비, 소화장애, 배뇨이상, 근력 저하 등의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3,4. 따라서 압박골절로 인한 통증 조절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합병증이나 후유증 관리 또한 중요하다.
압박골절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에 있어 국내에서 탕약5, 밴드 트레이닝6, 전침7, 한방복합입원치료8 등이 효과가 있었다는 증례 연구들이 보고되었고, 중국에서도 무작위 대조군 시험과 같은 임상적 가치가 높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9. 그러나 대체로 압박골절 발생 후 허리 통증의 조절에 대한 연구로, 압박골절 후에 발생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의 치료에 집중한 보고는 없었다. 본 증례는 급성 압박골절 후 섬망, 폐렴 등의 합병증과 동반된 식욕부진 및 연하곤란 증상을 보인 환자에게 양약 중재 없이 한방치료만으로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증 례

1. 환 자 : 설○○, F/78
2. 신장/체중 : 157 cm/26 kg
3. 진단명 : L1 부위의 골절, 폐쇄성
4. 발병일 : 2020년 01월 24일
5. 입원기간 : 2020년 04월 02일~07월 11일
6. 주소증
1) Anorexia
2) Dysphagia
3) General weakness
4) LBP
7. 과거력
1) L1 acute compression Fx. : 2020년 01월 24일~ 02월 12일 지샘병원 진단 후 입원 치료. 입원 중 01월 30일 rami communicans nerve block 시행
2) T12 Compression Fx. : 2018년 01월 16일~01월 22일 동수원병원 정형외과 진단 후 입원 및 국소마취하 경피적 척추성형술 시행
3) L3 Compression Fx. : old. local 병원 진단 및 치료
4) Osteoporosis : 2018년 01월 동수원병원 정형외과 진단 및 치료
5) Lt.hip OA c L3 compression Fx. : 2014년 12월 20일~2015년 01월 10일 군포병원 입원 및 수술(척추성형술 추정) 시행
6) s/p THR, Lt. : 2013년 군포병원 입원 및 수술, 2014. 군포정형외과 입원 및 수술
7) HTN : 2020년 01월 28일 지샘병원 심장내과 진단 후 약 처방받았으나 현재 복용 중단
8) Delirium : 2020년 01월 28일 지샘병원 신경과 진단 후 약 처방 받았으나 현재 복용 중단
9) Conjunctivitis : 2020년 02월 지샘병원 진단 후 외용제 처방
10) Pneumonia : 2020년 02월 12일 동수원병원 호흡기내과 진단 및 치료
8. 사회력 : 음주력 없음, 흡연력 없음, 무직
9. 가족력 : 없음
10. 현병력
독립 보행 가능했으며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 없었던 자로, 2020년 01월 24일 낙상으로 지샘병원 내원하여 L1 acute compression Fx. 진단 후 입원치료 받았으며, 입원 치료 중 general weakness, anorexia, delirium 점차 악화되어 2020년 02월 12일 동수원한방병원 한방2내과에 입원하였다. 입원 직후 dyspnea, desaturation 있어 Chest X-ray 상 pneumonia 진단 하에 02월 13일 동수원병원 호흡기내과로 전원 후 호흡기 증상 호전되었으나 anorexia, dysphagia, general weakness 등의 증상 호전되지 않아 2020년 04월 02일 동수원한방병원으로 재전원하였다. 본원 입원 일주일전 환자의 거부로 인해 양약 치료 중단 및 비위관 제거했으며 식사량이 매우 적어 매끼 연식 30% 이하만 섭취 가능했다. 본원 입원 시 극도의 기력저하로 인한 와상 상태로 스스로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11. 검사소견
1) L-spine MRI(Fig. 1) : L1 acute compression fx, T12&L3 old compression fx.
Fig. 1
L-spine MRI (L1 acute compression fx, T12 & L3 old compression fx.).
jikm-43-2-219-g001.jpg
2) Chest PA(Fig. 2) : Pneumonia in RLL.
Fig. 2
Chest PA (pneumonia in RLL).
jikm-43-2-219-g002.jpg
3) Lab(Table 1) : anemia(Hb 8.6→8.7), hypoalbuminemia (Albumin 3.16→3.26), hypoproteinemia(total protein 5.47→5.71)
Table 1
Laboratory Test (Blood)
04/07 04/10 04/14 04/17 04/25 05/01 05/05 05/09 05/12 05/15 05/22 05/30
Hemoglobin (g/dl) 8.6 8.6 8.8 8.6 8.8 8.8 8.2 8.2 8.3 7.9 8.2 8.7
Albumin (g/dl) 3.16 3.17 3.09 3.11 3.15 3.11 2.91 2.97 3.00 2.95 3.08 3.26
Total protein (g/dl) 5.47 5.47 5.28 5.25 5.66 5.53 5.41 5.26 5.17 5.11 5.19 5.71
12. 계통적 문진
1) 體形氣像 : 백색 얼굴, 마른 체격(157 cm/26 kg)
2) 消 化 : 불량(연식 30%)
3) 寒 熱 : 惡寒
4) 大 便 : 1회/5-7일, 굳은 변
5) 小 便 : 세뇨, 야뇨
6) 睡 眠 : 양호
7) 汗 : 적은 편. 전체적으로 건조한 피부 경향
8) 心 悸 : 없음
9) 舌 : 淡紅 苔黃白
10) 脈 : 沈, 細
11) 腹 診 : 특이사항 없음
13. 치 료
1) 한약 처방
(1) 補中益氣湯(Table 2) 煎湯液을 2첩을 3포(각 100 cc) 하루 분량으로 1일 3회, 매 식후 1시간 투약하였다(04월 09일~05월 13일).
Table 2
The Prescription of Bojungikgi-tang
Date Herbal name Botanical name Amount (g)
04/09~05/13 黃 芪 Astragali Radix 12
人 蔘 Ginseng Radix 12
白 朮 Atractylodes macrocephala 4
當 歸 Angelicae Gigantis Radix 4
甘草 (炙) Broiled root of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4
陳 皮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4
生 薑 Zingiberis Rhizoma Recens 4
大 棗 Zizyphi Fructs 4
藿 香 Agastachis Herba 2
蘇 葉 Perillae Folium 2
① 04월 09일~04월 21일 : 補中益氣湯
② 04월 22일~05월 14일 : 補中益氣湯에 當歸 4 g 加味
(2) 人蔘養營湯(Table 3) 煎湯液을 2첩을 3포(각 100 cc) 하루 분량으로 1일 3회, 매 식후 1시간 투약하였다(05월 14일~05월 27일).
Table 3
The Prescription of Insamyangyoung-tang
Date Herbal name Botanical name Amount (g)
05/14~05/27 白芍藥 Paeoniae Radix Alba 8
白 朮 Atractylodes macrocephala 4
生 薑 Zingiberis Rhizoma Recens 4
當 歸 Angelicae Gigantis Radix 4
人 蔘 Ginseng Radix 4
陳 皮 Citri Unshius Pericarpium 4
黃芪 (蜜灸) Honey-processed Astragali Radix 4
甘草 (炙) Broiled root of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4
防 風 Saposhnikoviae Radix 2.5
五味子 Schisandrae Fructus 2.5
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 2.5
肉 桂 Cinnamomi Cortex 2.5
遠 志 Polygalae Radix 2
大 棗 Zizyphi Fructs 2
① 05월 14일~05월 19일 : 人蔘養營湯
② 05월 20일~05월 21일 : 人蔘養營湯에 半夏 2 g, 麥門冬 4 g 加味
③ 05월 22일~05월 27일 : 人蔘養營湯에 半夏 2 g, 麥門冬 4 g, 白芍藥 2 g 加味
2) 침 치료 : 입원 기간 동안 1일 1회 0.25×30 mm stainless steel(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 사용하여 GV20(百會), 양측 TE5(內關), LI11(曲池), LR3(太衝), ST36(足三里), GB39(懸鍾), SP6(三陰交), LI4(合谷)에 자침하여 15분간 유침하였다. 유침 시간 동안에 복부에 적외선 혈위조사요법을 적용하였다.
3) 양방 치료 : 본 증례에서 약물을 비롯한 양방 치료는 적용되지 않았다.
14. 치료경과
1) Modified Barium Swallowing study(MBSS) (Table 4) : MBSS는 연하곤란의 평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이다. 화상 형광 투시 영상을 사용하여 연하곤란의 특징과 중증도를 판별하며 치료 목표를 정할 때 이용할 수 있다10. 본 환자는 낙상으로 급성 압박골절이 발생한 후 장기 침상 안정을 하며 소화기 장애로 인해 영양 섭취가 저하되어 전반적인 신체기능이 악화되었고, 폐렴 또한 속발되며 연하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11. 2020년 04월 08일 한약 투여 전 시행한 MBSS 상 모든 성상의 음식(thin, thick, yogurt type)에서 흡인 위험이 있으므로 경관 식이를 권고 받았으나, 환자의 강력한 거부로 경관 식이 대신 경구 식이를 유지하며 한약을 투여하기로 결정하였다. 입원 초기 식사 시 간헐적으로 켁켁거리며 사레가 들리는 양상을 보였으나 치료를 진행하며 소실되었고, 약 4주간의 한약 투약 후 2020년 05월 04일 후속 검사 시행 시 thin liquid, yogurt type에서 residue가 감소하여 yogurt type으로 소량씩 경구 식이 유지 가능하다는 소견을 통해 연하곤란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4
Change of MBSS
2020.04.08. MBSS Thin liquid Thick liquid Yogurt

5 cc 9 cc Drinking 5 cc 9 cc 5 cc 9 cc
Reduced tongue movement O O O
Oral delay
Premature spillage
Premature bolus loss O
Pharyngeal reflex delay
Oral residue (1, 2, 3) 2 2 2 2
Vallecular residue (1, 2, 3) 1 2 2 2
Pyriform residue (1, 2, 3) 2 1 1 3
Pharyngeal wall coating + +
Pharyngeal delay (ptt)
Penetration (b, d, a) a
Aspiration (b. D. A) a a
Cough reflex defect

2020.05.04. MBSS Thin liquid Thick liquid Yogurt

5 cc 9 cc Drinking 5 cc 9 cc 5 cc 9 cc

Reduced tongue movement O O O O
Oral delay
Premature spillage O
Premature bolus loss
Pharyngeal reflex delay
Oral residue (1, 2, 3) 1 2 1 2
Vallecular residue (1, 2, 3) 1 2 1 1
Pyriform residue (1, 2, 3) 1 1 1
Pharyngeal wall coating + + +
Pharyngeal delay (ptt)
Penetration (b, d, a) d, a a
Aspiration (b. D. A) a
Cough reflex defect +

* b : before, d : during, a : after † 1 : small, 2 : moderate, 3 : large amount, 9 cc : full spoon

2) 식사량(Fig. 3) : 매일 오전 7시 전일의 식사량을 확인하였다. 식사량은 밥 및 죽(백미, 210 g)을 기준으로 1일 각 끼니 별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2020년 04월 02일 입원 당시 끼니 당 연식 30% 정도의 식사량을 보였고, 04월 09일 한약을 투여하기 시작한 뒤 점차 증가하여 연식 50%까지 섭취할 수 있었다. 05월 04일 MBSS 진행 후 연하 기능이 호전된 것을 확인하고 식사 형태를 연식에서 일반식으로 변경하였고, 5월 21일에는 일반식 60%까지 증가하였다. 환자의 전반적인 신체 상태가 호전되며 신체 활동 및 물리치료를 시작하였고, 그에 따라 신체 통증을 주로 호소하기 시작하여 식욕부진 및 연하곤란에 대한 치료는 종료하고 통증 관리로 치료 목표를 변경하였다.
Fig. 3
Changes of the amount of oral feeding.
jikm-43-2-219-g003.jpg
3) 운동량 : 환자는 2020년 4월 2일 입원 당시 와상 상태로 스스로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전반적인 신체 상태가 호전되며 점차 활동량을 늘렸다. 4월 25일부터는 보호자의 부축을 받아 2 m 정도 보행했으며 이후 점점 거리를 늘려 5월 5일에는 워커 보행으로 병실 복도 왕복 2회(약 30 m)까지 가능 해졌다. 5월 11일에는 복도 왕복 4회(약 60 m), 5월 18일에는 복도 왕복 5회(약 75 m)로 늘어 치료 전과 비교하여 운동량이 현저하게 증가했다.
4) 혈액검사 : 혈액검사 상 총 단백질, 알부민, 헤모글로빈 농도를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기간 중 총 12회의 혈액검사를 진행했고, 총 단백질은 5.69 g/dl에서 5.71 g/dl로, 혈청 헤모글로빈은 8.5 g/dl에서 8.7 g/dl로 큰 변화는 없었고, 혈청 알부민 농도는 3.07 g/dl에서 3.26 g/dl으로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15. 윤리적 고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서 심사 후 진행되었다(IRB No. P01-202204-01-023).

III. 고 찰

압박골절 중 외상에 의한 것은 주로 유년기, 청장년층에 호발하고, 골다공증에 의한 속발성 압박골절은 노인층에서 골의 저항력 약화로 발생하게 된다. 속발성 압박골절 발생 시 골다공증으로 인하여 척추체가 압박됨으로 인한 골조직의 부피감소와 변형이 일어나고, 척추체의 생체역학적 기능 상실은 연부조직과 신경 등에 대한 이차적인 압박을 유발하게 되어 신경계의 장애나 지속적인 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척추 압박골절의 진단은 단순 방사선 검사만으로도 추체에서 압박소견을 확인할 수 있으며, MRI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12.
척추 압박골절에 대한 초기 치료로 침상 안정과 진통제를 통한 보존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으나 골절이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기간에는 최소 6∼8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통증이 지속되며 침상 안정 기간이 길어지면 다른 전신적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양방에서는 경피적 척추 성형술 및 풍선 척추 성형술을 급성기 통증 조절에 보존적 치료의 대안으로 사용하는 추세이나 시멘트 누출로 인한 신경 증상이나 인접 추체의 추가 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있으며, 아직까지 적응증과 예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상태이다13,14.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의 경우 보존적 치료에 비해 추체의 높이를 유지하는 것에는 유리하였으나 증상의 호전 속도와 호전 정도는 보존적인 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어15, 압박골절 환자에게 수술 치료를 적용하기보다는 보존적 치료와 더불어 한방치료 적용 시 효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증례는 골다공증 과거력이 있는 고령의 환자로, 낙상으로 인해 급성 압박골절이 발생하여 보존적 치료를 받았으나 장기적인 침상 안정으로 인해 발생한 소화기 장애, 근력 저하 등4의 전반적인 상태 악화 및 속발된 폐렴으로 인해 연하곤란까지 동반된 것으로 보인다. 비위관을 삽입하여 경관 식이를 적용 중 환자의 거부로 인해 본원 입원 시에 비위관은 제거한 상태였으며, 비위관 제거 후 경구약 복용을 거부하여 양약 치료는 적용할 수 없었다. 이미 10주 이상 보존적 치료를 적용한 상태로 침상 안정이 더 장기화될 경우 허리 근육의 약화16 및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어 환자의 식이 개선과 전반적인 신체 상태 개선을 우선으로 두고 치료를 계획했다.
Fig. 4
Timeline of patient’s history.
jikm-43-2-219-g004.jpg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받은 환자에 비해 영양 공급이 부족한 환자의 질병률이 증가할 수 있으며17, 사망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어18 입원 환자의 영양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젊은 성인의 경우 자유롭게 음식 섭취가 가능할 때 6개월 이내에 섭취량 부족으로 인해 감소된 체중을 모두 회복한 반면, 노인 환자는 감소된 체중을 회복하지 못했으며 배고픔을 느끼는 빈도 또한 적었다19. 따라서 자발적인 섭취에 따른 자연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판단 하에 한방치료를 적용하였고, 치료 적용 후 음식 섭취량이 약 2배로 증가하여 한방치료를 통해 기력저하, 식욕부진 증상이 호전되며 영양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압박골절의 치료는 손상의 발전 과정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의 3기로 나눈다. 초기(1~2주)에는 氣滯血瘀를 다스리기 위해 消瘀退腫하며, 중기(3~6주)에는 活血化瘀와 和營生新, 濡養筋骨 위주로 치료하며, 후기에는 瘀腫이 모두 退한 이후에 强筋骨, 補腎益氣, 補養氣血 등의 기능회복에 중점을 두고 치료한다20. 상기 환자는 후기에 해당하여 補氣 효능이 있는 보중익기탕과 補養氣血하는 인삼양영탕을 투약하였으며 환자 증상 호소에 따라 當歸, 半夏, 麥門冬, 白芍藥을 가미하였다.
본 연구에서 처방한 보중익기탕은 ≪비위론(脾胃論))≫에서 처음 등장한 처방으로, 脾胃虛證에 두루 사용된다21. 보중익기탕이 암 관련 피로를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무작위 배정 대조군 임상연구22가 보고된 바 있고, 보중익기탕이 혈청 osteocalcin와 골밀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골다공증에 치료 효과가 있다는 임상연구23도 보고되어, 환자의 골다공증 개선 및 기력저하 증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인삼양영탕은 十全大補湯의 가감방으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虛勞成損, 氣血不足, 消瘦倦怠, 氣短食少를 치료한다고 하였다24. 김 등25은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한 갑상선암 환자에서 나타난 비증, 기력저하, 피로, 식욕부진, 구건을 氣血兩虛로 변증하여 인삼양영탕을 투약 후 유효한 효과를 확인하여 보고하였다.
연하곤란은 노인의 약 7-10%에 존재하며26 에너지 섭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7. 연하곤란의 평가는 주로 Modified Barium swallowing study (MBSS)를 통해 이루어진다. 약 4주간의 한약치료 후 진행한 후속 MBSS 검사상 치료 전과 비교하여 호전된 결과를 얻어 연식에서 일반식으로 식이를 변경하였다. 식사량은 입원 당시 끼니 당 연식 30% 정도였으며, 치료를 진행하면서 점차 증가해 치료 종료 시에는 일반식 60%까지 섭취 가능한 정도로 호전되었다.
영양상태가 개선되며 운동치료를 시작하였고 한방치료 적용 3주차부터는 2 m 정도 부축 보행을 할 수 있었으며, 점차 활동량을 늘려 치료 5주차에는 워커 보행으로 2회 복도 왕복까지 가능해졌다. 치료 종료 시 복도 왕복 5회로 늘어 치료 적용 전 와상 상태였던 것에 비하여 운동능력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증례는 식욕부진, 연하장애, 기력 저하를 주소로 하는 급성 요추 압박골절 후유증 환자에 대해 침치료, 한약치료로 호전을 확인한 보고로, 연구기간 동안 양약을 비롯한 양방 처치를 적용하지 않고 한방치료만으로 식사량, 운동량 및 MBSS 검사 결과상 호전을 확인하였으므로 추후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의 경우 치험례 1례로 한방치료의 유의성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으며, 추가적인 증례 보고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V. 결 론

급성 요추 압박골절 후 발생한 폐렴과 동반된 식욕부진, 연하곤란, 기력 저하를 호소하는 환자 1명을 약 7주간의 침치료 및 한약치료를 통해 임상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확인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참고문헌

1. Park BM. Cause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1977:12(1):1–8.
crossref pdf
2. Spinal Cord Injury Information Network http://www.spinalcord.uab.edu.

3. Papaioannou A, Watts NB, Kendler DL, Yuen CK, Adachi JD, Ferko 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ertebral fractures in elderly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2:113(3):220–8.
crossref pmid
4. Kim JK, Song IS, Shin HL, Jin KS, Yoon IJ, Choi SH, et al. Effects of Absolute Bed Resting Period on Bone M ineral Density in 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4:14(1):19–33.

5. Jo HG, Chu MK, Park SG, Yang MS, An GY, Kang SI, et al. A Case Report of Prescribing Doinseunggi-tang(Taorenchenqi-tang) for the Patient with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Journal of oriꠓ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009:19(3):111–21.

6. Jang G, Cho TY, Cho HC, Song YK, Lim HH. The Case Report about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Treated with Band Training.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2005:6(1):147–56.

7. Lee JS, Kim JN, Hong JS, Ryu CG, Jeong SS, Moon SI. One Case Report of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at Huα-Tuo-]iα-]i-Xue on Rib Fracture and Thoracic Compression Fracture. Journal of Korean Oriental Spine Joint 2012:9(1):33–9.

8. Hong JR, Kim YJ, Kim JS, Lee JR, Kim TG, Yoo DH, et al. 4 Cases of Patients That Improved from Traffic Accident Which Caused Lumbar Spine Compression Fracture by Complex Korean Medical Admission Treatment:Retrospective Case Study. J Korean Med Rehabi 2017:27(4):163–70.

9. Kim DE, Kim JH, Joung JS, Yu SA, Cho SW. A Review of Recent Studies for Treatment of Compression Fracture Using CNKI Database. J Korean Med Rehabi 2017:27(3):1–12.

10. Hazelwood RJ, Armeson KE, Hill EG, Bonilha HS, Martin-Harris B. Identification of swallowing tasks from a modified barium swallow study that optimize the detection of physiological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017:60(7):1855–63.

11. Jordi A, Laia R, Mateu SP, Roser I, Elisabet P, Viridiana A, Pere C. Oropharyngeal dysphagia is a risk factor fo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the elderl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13:41(4):923–8.
pmid
12. Kim JH, Kim JW, Nam DW, Yang KY, Lee GH, Lee EY, et al.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eoul: Hanmi: 2012. p. 501–2.

13. Koh YD, Kim DJ. Pain Relief and Associated Factors after a Kyphoplasty for Treating a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2014:27(4):186–91.

14. Mudano AS, Bian J, Cope JU, Curtis JR, Gross TP, Allison JJ, et al. Vertebroplasty and kyphoplasty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econdary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steoporos Int 2000:20(5):819–26.

15. Park YS, Cho WJ, Cho JL. Comparison of the Result of Vertebroplasty and Conservative Treatment i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06:19(3):363–8.
crossref
16. Dusdal K, Grundmanis J, Luttin K, Ritchie P, Rompre C, Sidhu R, et al.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for person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a systematic review. Osteoporos Int 2011:22(3):755–69.
crossref pmid pdf
17. Resnick NM, Marcantonio ER. How should clinical care of the aged differ? Lancet 1997:350(9085):1157–8.
crossref pmid
18. Wallace JI, Schwartz RS, LaCroix AZ, Uhlmann RF, Pearlman RA. Involuntary weight loss in older outpatients:incid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J Am Geriatr Soc 1995:43(4):329–37.
crossref pmid
19. Roberts SB. Regulation of energy intake in relation to metabolic state and nutritional status. Eur J Clin Nutr 2000:54(3):S64–9.
crossref pmid pdf
20. 趣 勇. 中國骨傷方藥全書 北京: 學苑出版社: 1995. p. 1–23.

21. Kim JH, Kim HH, Kim KH. Effects of Bu- Zhong-Yi-Qi-Tang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a feasibility study protocol. Integr Med Res 2017:6(3):317–24.
crossref pmid pmc
22. Jeong JS, Ryu BH, Kim JS, Park JW, Choi WC, Yoon SW. Bojungikki-tang for Cancer-related Fatigue :A Randomized, Waiting List Controlled Trial. Integr Cancer Ther 2010:9(4):331–8.
crossref pmid pdf
23. Umm JW, Chung SH, Lee JS, Kim SS, Shin HD. The Clinical study of Bojungikgi-tang and Samul-tang on Osteoporosis.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1999:9(1):59–74.

24. Jin SM. Taepyeonghyeminhwajegukbang Beijing:China Chinese medicine publisher. 1996:133.

25. Kim DR, Lee SY, Lee HS, Moon BS, Yun JM. A Case Report of a Thyroid Cancer Patient with Hypoparathyroidism after Total Thyroidectomy by a Combination of Korean-Wester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Insamyangyoung-tang. J Int Korean Med 2018:39(4):814–21.
crossref pdf
26. Achem SR, Devault KR. Dysphagia in aging. J Clin Gastroenterol 2005:39(5):357–71.
crossref pmid
27. Keller HH. Malnutri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how and why? J Am Geriatr Soc 1993:41(11):1212–8.
crossref pmid
Editorial Offic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27, Dongguk-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10326 Korea
TEL: +82-31-961-9046   FAX: +82-31-961-9049   E-mail: jikm.edit@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Developed in M2PI      |      Admin Login